الأحد، 1 سبتمبر 2019

Jérôme Boateng

Jérôme Agyenim Boateng (German pronunciation: [ʒeˈʁoːm bo.aˈtɛŋ]; born 3 September 1988) is a German professional footballer who plays as a defender for Bayern Munich and the Germany national team.

Boateng started his career at Hertha BSC where he developed from the youth ranks to the main team. After his first season at Hertha, he soon signed for Hamburger SV and established himself as an integral part of the team, helping Hamburg reach the two consecutive UEFA Europa League semi-finals. After one season in England with Manchester City, he joined Bayern Munich in 2011 and has since won domestic and European honours with the club, notably the continental treble in the 2012–13 season.

Boateng played in the Germany under-21 side, which won the 2009 Euro U-21 Championship and was soon promoted to the national side. Boateng has since accumulated over 70 caps and represented Germany at UEFA Euro 2012, Euro 2016, 2010 World Cup, 2014 World Cup, and 2018 World Cup. He was a key member of his country's victory in the 2014 World Cup. He is the younger half-brother of fellow footballer Kevin-Prince Boateng

Club career
Early career
Boateng started his career with the youth team of Tennis Borussia Berlin, before joining Hertha BSC in 2002.

Hertha BSC
After emerging from the youth team set-up, he played for the reserves for two seasons. He scored a goal in nine appearances 2005–06 season.[4] 2006–07 season.[5] He won a call-up to the first team squad on 31 January 2007. He made his debut against Hannover 96 in the AWD-Arena, during week 19 of the 2006–07 Bundesliga season. He then became a first-team regular, despite being barely 18 years of age. He finished the 2006–07 season with 11 appearances for the first team.[5]

Boateng was linked with a move to Hamburger SV in the summer of 2007.[6] Because of this, according to the German media, Boateng did not want to sign a five-year professional contract with Hertha.

Boateng moved to Hamburger SV on 22 August 2007 for a fee said to be around €1.1 million. Boateng spent two successful years at Hamburg, where he would go on to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he side's defence in the 2008–09 season which saw Hamburg in the race for the Bundesliga title, as well as reaching the semi-finals of the UEFA Europa League in both his years at the club. He had made 37 appearances during the 2007–08 season.[7] and 35 appearances during the 2008–09 season.[8] In the 2009–10 season, he broke into the Germany national side after impressing for Hamburg, earning himself a place in the squad for the 2010 FIFA World Cup. He finished the 2009–10 season with a goal in 41 appearances.[5][9]

Manchester City
On 5 June 2010, English Premier League club Manchester City confirmed the transfer of Boateng to the English club for £10.4 million on a five-year deal, where he wore his favoured number 17 shirt.[10] He made his City debut in a pre-season friendly against Valencia for the first half, alternating between centre back and right back with Micah Richards. After an impressive run, down the right flank, he provided the assisting cross for Gareth Barry to score.

During the week prior to the start of the 2010–11 Premier League season, Boateng suffered an injury setback on international duty with Germany during a friendly against Denmark. He tore a tendon in his left knee, which was then aggravated on the plane home after a collision with a drinks trolley.[11]

He made his debut for Manchester City with a substitute appearance during a 1–0 victory against Chelsea on 25 September 2010. He followed this with a first competitive start in a 1–1 Europa League draw with Juventus, playing at right back.[12] In his one season with City, Boateng won the 2010–11 FA Cup despite not being a member of the matchday squad for the final. He made 24 appearances for Manchester City.
In June 2011, Boateng expressed his desire to leave Manchester City for Bayern Munich, stating that playing for Bayern would help his chances of playing regularly for the Germany national team and that he was frustrated at having to play almost exclusively at right back.[13]

On 14 July 2011, Bayern confirmed the transfer of Boateng to the German club for a fee of €13.5 million on a four-year deal. He was given the same number 17 shirt he wore at Manchester City and for most of his time with Hamburger SV. He made his debut on 27 July 2011 as a second-half substitute for Rafinha during the 2011 Audi Cup in a match against Milan.[14] His Bundesliga debut for Bayern came in a 0–1 home defeat against Borussia Mönchengladbach, on 6 August; an error between himself and fellow new signing goalkeeper Manuel Neuer allowed Igor de Camargo to score the only goal.[15] The team finished the season as runners-up in the Bundesliga, DFB-Pokal and Champions League, with Boateng playing the finals of the latter two tournaments in their entirety. He made 48 appearances during the 2011–12 season.
During the 2012–13 season, Boateng was a regular member of the Bayern team that won a treble of the Bundesliga, DFB-Pokal and Champions League, in addition to the DFL-Supercup at the start of the season. On 5 December 2012, Boateng picked up a red card against BATE Borisov which resulted in a two-match ban.[17] He scored his first Bundesliga goal with a header from Phillip Lahm's cross on 9 March 2013, the winner as Bayern came from behind for a 3–2 home win against Fortuna Düsseldorf.[18] He netted a second on 13 April, an acrobatic half-volley to open a 5–0 home win over 1. FC Nürnberg, after Bayern had already won the league title.[19] He scored two goals in 40 appearances during the 2012–13 season.[5][20]

2013–14 season
On 2 October 2013, Boateng picked up a red card against former club Manchester City which resulted in a one-match ban in the Champions League.[21] His only league goal of the season was on 9 November, finishing a corner after four minutes of a 3–0 home win over FC Augsburg.[22] He extended his contract with Bayern on 11 December, which will keep him at the club until 2018.[23] On 3 May 2014, Boateng picked up a red card which resulted in a two-match ban.[24] Bayern ended the season as winners of a domestic double of the Bundesliga and DFB-Pokal. He scored a goal in 43 appearances during the 2013–14 season.[5][25]

2014–15 season
On 17 September 2014, Boateng scored his first European goal for Bayern in the 2014–15 Champions League season with a strike which was the only goal in the opening group stage match against his former club Manchester City.[26] Boateng picked up a red card against Schalke 04 on 3 February 2015 which resulted in a three-match ban in the Bundesliga.[27]

Boateng scored in a 7–0 Champions League round of 16 win against Shakhtar Donetsk on 11 March 2015,[28] and in a 6–1 quarter-final win over Porto on 21 April.[29] He finished the 2014–15 season three goals in 44 appearances.[5][30]

2015–16 season
Boateng started the 2015–16 season by playing in the German Super Cup.[31] He picked up a red card against 1899 Hoffenheim on 22 August 2015.[32] On 18 December, Boateng signed a new contract with Bayern, keeping him at the club until 2021.[33] He finished the 2015–16 season with 31 appearances.[31][34]

2016–17 season
On 20 December 2016, Boateng suffered pectoral muscle tendon and was out for almost three months.[35] On 11 March 2017, Boateng made his return after 108 days as a substitute by replacing Javi Martínez in the 64th minute in a 3–0 victory over Eintracht Frankfurt.[36] On 14 April 2017, head coach Carlo Ancelotti confirmed that Boateng was ruled out of the away match in the league against Bayer Leverkusen due to adductor problem.[37] He made his return On 20 May 2017, Boateng sustained muscle injury and was subbed off just after 11 minutes in the last match of the season where Bayern won 4–1 against SC Freiburg.[38] He finished the 2016–17 season with 21 appearances.[39]

2017–18 season
On 13 September 2017, Boateng made his comeback after 115 days on the sidelines in the Champions League match and provided one assist to Joshua Kimmich's late goal after being subbed on in a 3–0 victory over Anderlecht.[40] On 21 December, Boateng scored a header in a 2–1 win as his side knocked their fierce rival Borussia Dortmund out of the DFB-Pokal during the round of 16 match.[41] On 27 January 2018, Boateng scored another header in the league match and his first league goal since November 2013 as his side made a come back from two goal behind to finish the game with a 5–2 victory over 1899 Hoffenheim.[42] Boateng made his 250th appearance for the club in a 6–0 victory over Hamburger SV on 10 March.[43] On 11 April, Boateng and his teammate Thomas Müller made their 100th European appearance in the Champions League match against Sevilla as the game finished 0–0 draw.[44] On 26 April, Boateng suffered thigh muscle injury during the Champions League semi-final first leg match against Real Madrid in which the game ended 2–1 loss for his sides and the injury made him miss all the remaining matches of the season.[45] He finished the 2017–18 season with two goals in 31 appearances.[46]

2018–19 season
Boateng entered the season injury-free and started the season strong as he played every minute of Bayern's first three Bundesliga matche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season, Boateng was rotated along with Bayern's other two center-backs, Mats Hummels and Niklas Süle.[47] Boateng lost his place in the starting lineup as Bayern's coach, Niko Kovač, decided that Hummels and Süle were his first option. After the winter break, Boateng was linked to other clubs as he was reported to be unhappy with his position at Bayern.[48]

On 18 May 2019, Boateng won his seventh consecutive Bundesliga title as Bayern finished two points above Dortmund with 78 points. A week later, Boateng won his fourth DFB-Pokal as Bayern defeated RB Leipzig 3-0 in the 2019 DFB-Pokal Final. Boateng did not appear in the match as he was an unused substitute.[49] He finished the 2018–19 season without scoring in 28 appearances
he Germans in their first group stage match.[67] On 26 June, Boateng scored his first international goal in the round of 16 match against Slovakia, opening the scoring with a long-range volley in the 3–0 victory.[68] On 8 July, Boateng was subbed off in the second half as he suffered thigh muscle injury during the semi-final match against France and the match ended 2–0 loss for Germany.[69]

2018 FIFA World Cup
Boateng was named in Joachim Löw's final 23-man squad for the 2018 FIFA World Cup on 4 June 2018.[70] On 23 June, Boateng was sent off after receiving a second yellow card during their second group stage match against Sweden, but that didn't stop Germany winning the game with 2–1 victory.[71] He also became the first German player to be sent off in a World Cup match since Miroslav Klose against Serbia in the 2010 World Cup.[72] However, he had to leave the tournament later after Germany suffered a 0–2 shock defeat to South Korea, thus Germany were eliminated from the tournament.[73]

On 5 March 2019, national team coach Joachim Löw confirmed that he would plan without Boateng for the foreseeable future, along with his club teammates Mats Hummels and Thomas Müller.[74]

Style of play
A versatile defender, Boateng primarily is a centre-back, although he can also play as a right-back. Physically strong and composed in possession, he has garnered a reputation as a tough-tackling defender, with good passing and an ability to read the game, and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world's best at his position.[75][76][77]

Personal life

Boateng in 2013
Boateng is a Ghanaian German and was born to a German mother named Martina Boateng and a Ghanaian father[78] in Berlin.[79] He is the younger, paternal half-brother of fellow professional footballer Kevin-Prince Boateng.

Boateng is engaged to his long-time girlfriend Sherin Senler.[80][81] Boateng and Senler[80][82] have two children together,[81] Soley and Lamia; twin girls born on 8 March 2011.[83] The pair separated for a couple of years[84] following allegations of Boateng's infidelity, but they reunited in November 2013.[81] Boateng allegedly had an affair with model Gina-Lisa Lohfink, although both Boateng and Lohfink have denied ever having an affair


타인은 지옥이다

《타인은 지옥이다》는 2019년 8월 31일부터 OCN에서 방영 중인 드라마로, 동명의 웹툰이 원작이다.
등장 인물
주요 인물
임시완 : 윤종우 역 - 에덴고시원 303호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이자, 작가지망생.
이동욱 : 서문조 역 - 에덴고시원 인근에서 치과를 운영하고 있는 치과전문의.
윤종우의 주변인물
차래형 : 신재호 역
김한종 : 박병민 역
오혜원 : 손유정 역 - 똑 부러지며 할 말은 하는 성격의 종우 회사 디자이너.
박지한 : 고상만 역
에덴 고시원
이정은 : 엄복순 역 - 에덴 고시원의 주인장.
이현욱 : 유기혁 역 - 에덴고시원 302호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
박종환 : 변득수/변득종 (1인2역) 역 - 에덴고시원 306호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
이중옥 : 홍남복 역 - 에덴고시원 313호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
현봉식 : 안희중 역 - 에덴고시원 310호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으로서, 종우가 에덴고시원에 처음 입주했을 때 만난 주민.
그 외 인물
안은진 : 소정화 역 - 공대출신의 지구대 순경.
김지은 : 민지은 역 - 회사원이자, 종우의 대학 후배로 4년 째 열애중.
송욱경 : 차성렬 역 - 수년간 조폭들과 연루되어 있던 안희중을 추격하고 있던 형사.
이석 : 조유철 역 - 조그만 일간지의 문화부 소속 기자.
하선행 : 소재헌 역 - 소정화의 아버지이자, 과거 형사시절 딸인 소정화에게 유일하게 멘토가 되어주는 인물.

나경원

나경원(羅卿瑗, 1963년 12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이다. 4선 국회의원이며, 자유한국당 최초의 여성 원내대표이다
학력
1970년 계성초등학교 입학
1976년 계성초등학교 졸업
1979년 숭의여자중학교 졸업
1982년 서울여자고등학교 졸업
1982년 서울대학교 입학
1986년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 (학위논문명 : 국제교역에 있어서 최혜국조항의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제법학 박사 수료
생애
1963년 12월 6일 홍신학원의 설립자이자 이사장인 나채성의 4녀 중 장녀로 서울 동작구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자랐다.[3] 본관은 나주이며, 할아버지는 전라남도 영암군 도포면 출신이다.

계성초등학교 시절 아동극 연출 지도 교사로 온 배우 서인석에게 오디션을 통해 발탁되어 연극부 활동을 하기도 했다.[4] 숭의여자중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여자고등학교 시절에는 고등학교 2학년 때 전체 557명 중에 1등을 차지할 정도로 3년 내내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다.[5] 그 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에서 국제법을 전공하였으며[6], 30세가 되던 1992년 사법시험에 합격했다.[7]같은 학교 동기인 김재호와 결혼하였고, 1남 1녀를 두었으며, 딸은 다운증후군이 있다.[8][9][10]

판사 활동
사법연수원 24기[6]로 수료하고[11] 1995년 부산지방법원 판사에 임용되어 4년간 근무하였다.[7] 이후, 1999년 인천지방법원, 2002년 2월 서울행정법원까지 총 7년 6개월간 판사로 재직하였다.[3][12]

정계 입문
2002년, 제16대 대선 기간, 이회창의 요청에 따라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정치에 입문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여성판사가 판사를 그만두고 정치권에 뛰어든 것은 추미애 이후 두 번째다.[13] 나경원은 ‘소신 판결을 해온 이회창 후보를 법관시절부터 존경해 왔다’고 밝혔다.[14]

변호사 활동
2003년 3월 이회창이 대선에 패배하자 변호사 활동을 시작했다.[14] 2011년 7월 법무법인 바른에서 실제 변호사 업무를 하진 않았지만, 주요 구성원이었다.[15]

정계 복귀
‘정치인 나경원’은 2003년 7월 10일 한나라당 운영위원으로 선출되면서 다시 정치계에 등장했다.[16] 이후 한나라당에서 활동하며 12월 29일에는 17대 총선을 앞두고 공천심사위원으로 임명되었다.[17] 2004년 3월 30일, 비례대표 11번으로 국회의원 선거에 뛰어들어[18] 당선되었다. 당선 직후 교수출신 당선자들과 스터디그룹을 만들어 정책을 공부하며 정치인으로서의 자질을 갖추어 나갔다.[19] 당선자 연찬회에서는 “감동을 주는 정치를 하겠습니다”라고 포부를 밝였다.[20] 5월 12일에는 중도개혁보수를 지향하는 초재선의원의 모임인 ‘푸른정책연구모임’의 발족과 동시에 참여하였다.[21] 당초 문화관광위원회에 지원[22] 했지만 정무위에 배정되었다.[23]

나경원 의원은 딸이 다운증후군을 앓는다는 이유로 차별을 당한 경험을 살려 국회의원과 장애아동 부모 및 전문가 등이 의견을 나누는 연구모임 '장애 아이, We Can'을 만들어 회장을 맡기도 했고,[24] 한나라당 장애인복지특위 위원장을 역임[25]하며, 장애인 처우 개선을 포함한 복지·인권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26][27] 나 의원은 17,18대 국회의원 임기 동안 성년이 된 장애인이 부모가 없더라도 후견인의 도움을 받아 재산을 관리하고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하는 내용의 ‘장애성년 후견법안’[28] 1건과 각기 다른 내용의‘특수교육진흥법 일부개정안’4건[29]을 대표발의해, 5건 모두 대체입법으로 통과시켰다. 이 외에도 10건의 장애인 관련 및 특수교육 관련 법안을 공동발의한 바 있다.

제17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2004년 국정감사에서 나경원은 금융감독위원회가 론스타의 외환은행 인수 승인을 적극 검토하려 했다는 금감위 내부 문건과[30] 증권선물위원회의 자문기구인 감리위원회의 민간 위원 대다수가 국민은행 김정태 전 행장의 중징계에 반대했었다는 의사록을 공개했다.[31] 또 국정감사 기간 중 당시 여당이 제기한, 이명박이 시장이었던 서울시가 수도이전집회를 위한 관제데모를 위해 5억원을 사용했다는 의혹이 허위라고 주장하기도 했다.[32]

이 후 국감에서의 활동을 바탕으로 ‘국내 금융산업의 현황과 과제’라는 정책자료집을 발간했으며,[33] 행정부 산하 자문위원회들의 국회 통제를 강화하는 '자문위원회 기본법' 제정안을 제출했다.[34]

2004년 국정감사 기간 뒤 2005년 1월 20일 원내부대표로 임명되며 이어 2월에는 당 윤리위원으로 위촉되었다. [35] [36] 이후 나경원은 한나라당의 공보부 대표로 활동하며, 한나라당의 사학법 통과에 반발하거나[37] 검찰의 X파일 수사가 공정하게 진행되었다는 당의 입장을 발표[38] 하기도 했다. 또 나경원은 출자총액제한제 법안 폐지를 골자로 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을 발의하기도 했다.[39]

그 후 나경원은 오세훈 후보 서울시장 캠프에 합류하였고[40], 이 후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는 전여옥에 이어 나경원을 유기준과 함께 한나라당 공동대변인으로 임명했다.[41][42] 나경원은 당대변인으로서 일하며 김병준 교육부총리 논문 이중보고를 비난하고, 노무현 대통령의 조카의 바다이야기 판매회사 근무와 관련한 의혹제기를 했다.[43] 또 전효숙 헌법재판관의 헌법재판소 소장 임명과 관련해 절차와 인물을 들어 반대한다는 당의 입장을 전하기도 했고[44], 노무현 대통령의 전시작전통제권 환수에 관련된 언급과 관련 "노무현 대통령은 입만 열면 설화를 일으키는 개구즉화"라는 당을 대변하는 논평을 남기기도 했다.[45]

2008년 3월, 총선에 출마하기 위해 1년 8개월 동안 맡아왔던 대변인 자리에서 물러나고[46] 이어 서울특별시 중구에 공천을 받아 앵커 출신 신은경과 대결을 펼쳐[47] 18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제18대 국회의원 (서울특별시 중구)
18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뒤, 나경원은 한나라당의 제6정조위원장을 맡았다.[48] 또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한나라당 간사 의원을 맡기도 했다.[49]

나경원은 경찰이 조계종 총무원장 지관 스님의 차를 불심검문한 것과 관련, 2008년 9월 4일 공직자의 종교 차별을 금지하는 내용의 국가공무원법 및 지방공무원법을 제출했다.[50] 또 어청수가 사퇴해야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51]

나경원은 2008년 8월 최시중 방송통신위원회장, 이동관 대변인과 함께 국정원 2차장과 회동했다는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다.[52] 이후 11월 3일 나경원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하였다, 이 개정안은 공공연하게 사람을 모욕하는 정보에 대해 방송통신위원회가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 등에게 취급거부, 정지, 제한명령을 할 수 있도록 했고,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공공연하게 사람을 모욕한 경우 2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했다. 이 법안에 대해 국가인권위원회는 "사이버 모욕 행위는 명시적 기준이 없어 인터넷상 표현의 자유가 위축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53]

2009년 새해부터 미디어 관련 22개법을 놓고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첨예한 대립을 앞두고 있을 때, 이 법안을 담당하는 국회 문방위의 한나라당측 간사였던 나경원은 그 중심에 서 있었다. 나경원은 1월 22일 "미디어 관련법은 1월 여야 합의정신과 국회법에 따라 처리할 계획"이라고 말했으나[54] 결국 문방위의 위원장이었던 한나라당 고흥길은 2월 25일 기습상정으로 이 법안들을 통과시킨다.[55] 이 후 민주당과 한나라당의 협상과정에서, 나경원은 안상수 원내대표가 제안한 민주당의 시행 유보안에 대해서도 "대기업과 신문사도 지상파에 진입시키는 것이 원칙"이라며 강경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56]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에 출마하기 위해 한나라당 경선에 도전하였으나 오세훈후보에 패배하고, 대신 오세훈 선대위원장으로 합류하여 지방선거 승리를 이끌었다.[57]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낙선
34대 서울특별시장 오세훈이 2011년 8월 24일 실시된 무상급식 주민투표가 무산된 것에 따른 책임을 지고 8월 26일 시장직을 사퇴함에 따라 치러진 서울특별시장 보궐 선거에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2011년 10월 26일 개표 결과 박원순 후보가 약 215만여 표를 얻어 53.4%의 득표율을 나타냈고, 나경원 한나라당 후보가 약 186만여 표를 얻어 46.2%의 득표율을 나타내어 낙선했다.[58]

이후 나경원은 여의도 당사 기자회견을 통해 "어차피 당이 공천 안 했을 것"이라며 인터뷰를 남기고 4.11 총선에 불출마했다.[59]

제19대 국회의원 (서울 동작구 을)
2014년 7월 30일 재보궐선거에 정몽준 의원의 서울특별시장 출마로 인해 공석이 된 서울 동작구 을 지역구 보궐선거에 출마하여 야권단일후보로 나선 노회찬 전 정의당 대표를 꺾고 당선되었다. 7.30 재보궐선거에 당선됨에 따라 나경원은 새누리당 내 유일한 여성 3선의원이 되었고, 상임위는 외교통일위원회를 배정받았다. 이후 2015년 2월 26일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 유기준 의원이 해양수산부 장관에 내정됨에 공석이 된 외교통일위원장을 정두언 의원과 경선을 벌여 135표 중에 92표를 얻어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에 당선되었다. 이는 헌정사상 외교통일분야 상임위에 여성 의원이 처음으로 선출되었다.

스페셜올림픽 활동
나경원은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국회의원이었던 2008년부터 스페셜올림픽 유치를 위해 백방으로 뛰었다.[60] 스페셜올림픽의 유치와 준비를 위해 자신이 가진 정치적 자산들과 인맥을 모두 활용하는 한편, 정부 관계자와 의원들을 설득해 대회 유치를 결의했다.[61] 2010년 9월 15일, 대회의 평창 유치를 발표할 때에는 전설적인 체조스타이자 스페셜올림픽 이사회 부의장인 나디아 코마네치의 선언문 발표에 이어 아놀드 슈워제네거 캘리포니아 주지사의 성화를 전달받았고, 아놀드 슈워제네거는 평창 스페셜올림픽 참석의 뜻을 밝혔다. 대회를 100일 앞둔 2012년 10월 21일에는 걷기대회와 전광판 제막 행사를 여는 등 스페셜올림픽의 성공과 홍보를 위해 노력했다. 걷기대회는 강원도 대관령 일대와 청계천에서 진행됐으며, 특히 ‘청계천 걷기대회’는 ‘피겨여왕’ 김연아를 비롯해 ‘마라톤영웅’ 황영조, 양준혁 SBS 해설위원, 심권호 LH스포츠단 레슬링 코치 등 스포츠 스타와 남경주 뮤지컬 배우 등 유명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62] 대회에 앞서 세계 각국에서 온 선수단이 다양한 문화체험을 통해서 국내 적응을 돕고자 ‘호스트 타운 프로그램’을 실시하기도 했고, 지적장애인과 비장애인 스타들이 함께하는 통합스포츠 프로그램 등의 다채로운 프로그램들을 시행하였다. 더하여 스페셜 올림픽 개최 사상 처음으로 지적장애인들의 권리 보호를 위한 국제 정상회담인 ‘글로벌 개발 서밋’과 ‘세계 청소년 회담’ 등의 국제회의도 열었으며, 특히 개발 서밋에서는 세계 지적 장애인들의 권익 보호와 이를 위해 국제사회의 협력을 촉구하는 ‘평창선언’을 채택했다.[63] 이러한 노력에 이어 ‘Together We Can’이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된 평창 스페셜 올림픽은 전 세계 106개국 3,000 여명의 선수단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됐다. 흥행 면에서도 7일 동안 진행된 8개 종목의 경기에 하루 평균 3만명, 총 20만 명에 육박하는 관객을 동원하며 역대 최다 관중 동원을 기록했다. 국제스페셜올림픽위원회 전략기획수석 피터 월러는 평창 동계 스페셜올림픽을 일컬어 “모든 부문에서 역대 최고의 대회로 기획, 조정, 무대 준비, 홍보가 모범적이었다.”고 평가했다.[64] 실제 대회 이전 0%에 가까웠던 지적장애인과 스페셜올림픽에 대한 인지도가 71%(’13. 2. 2., 미디어리서치, 전국 1,000명)까지 상승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65] 평창 동계 스페셜올림픽의 성공은 지적장애인 선수들과 비장애인들이 모두 하나가 되는 행사라는 평가와 함께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의 초석을 다진 대회로 평가됐다.[66] 한편 나경원은 SOK(스페셜올림픽코리아)의 회장으로서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 발달장애인들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노력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걸으며 서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는 ‘투게더 위 워크(Together We Walk)’ 행사를 지난 2012년부터 매년 개최하고 있으며[67], 2014년 10월에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장애인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슈퍼블루' 캠페인의 선포식을 갖고[68], 이어 2014년 12월에는 소외된 계층인 장애인들과 따뜻한 마음을 나누고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홍보를 위한 ‘2014년 슈퍼블루 캠페인 가두홍보’ 행사를 명동입구에서 진행하기도 했다.[69] 2015년 10월에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달리는 슈퍼블루 마라톤 대회를 열었고, 이를 발달장애인들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들이 서로에 대한 편견이 없어질 때까지 매년 개최할 예정이다.[70] 스페셜올림픽 기간 동안 매일 진행된 발달장애인 음악회가 효시가 된 ‘스페셜 뮤직&아트 페스티벌’을 2013년 평창 동계 스페셜올림픽 세계대회를 기념하기 위한 레거시 사업으로 추진, 온전히 발달장애 아티스트를 위한 페스티벌로는 전 세계 유일한 국제발달장애예술축제로서 매년 그 명맥을 이어가며 2015년까지 꾸준하게 3회에 걸쳐 진행하고 있다.[71] 지난 2015년 7월에는 SOK(스페셜올림픽 코리아)의 회장이자 국제스페셜올림픽위원회의 이사로서 한국 선수단을 이끌고 2015 LA 스페셜올림픽에 참가해 12개 종목에 출전해 금메달 35개 은메달21개 동메달 25개로 총 81개의 메달을 따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기도 했다.[72][73]

국회 외교통일위원장 활동
2015년 2월, 나경원 새누리당 의원이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에 선출됐다. 국회 외통위원장에 여성 의원이 선출된 것은 헌정사상 처음이다. 국회는 26일 본회의에서 보궐선거를 진행해 208표 중 176표를 얻은 나경원 의원을 새로운 국회 외통위원장에 선출했다고 밝혔다.[74] 나 의원은 당선 인사에서 "우리 외교가 녹록치 않다. 정부와 국회가 소통과 협업을 통해 여러 가지 산적한 현안들을 풀어가겠다"면서 "남북관계를 풀어 나가서 통일의 초석을 놓는데 국회가 앞장서도록 노력하겠다. 여야가 머리를 맞대서 10년간 미뤄온 북한인권법도 반드시 마무리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나 의원은 앞서 이날 오전 새누리당 의원총회에서 진행된 외통위원장 후보 경선에서 총 135표 가운데 92표를 얻어 43표 득표에 그친 정두언 의원을 누르고 후보 자리를 거머줬다.[75] 그가 취임하던 2015년에는 리퍼트 미국 대사 피습 사건을 포함해 독도 문제에 대한 일본의 교과서 도발, 일본 근대산업시설(군함도 한국인 강제징용시설)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주한미군 탄저균 배달사고, 프랑스 파리 테러 등 유난히 외교 분야에서 국가적 난제들이 돌출된 해였다. 나경원은 정치 활동 초기부터 북한 인권문제와 관련한 활동을 이어왔다. 초선 의원이었던 17대 국회에서 이미 ‘(UN) 북한인권(참여촉구) 결의안’을 최초로 제출했다.[76] 북한인권문제의 국제적 이슈화는 북한의 인권 상황을 감시하고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유엔 북한인권사무소’의 건립으로 이어졌다. 나경원은 2015년6월23일‘유엔 북한인권사무소’(서울 유엔인권사무소) 개소식에 참석하는 한편, 자이드 라아드 알 후세인(Zeid Ra’ad Al Hussein) 유엔 인권최고대표(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와 만나 북한인권 증진 및 보호에 더욱 힘써줄 것을 당부하고 향후 공조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77] 한편 19대 국회에서도 여전히 협의점을 찾지 못해 10년째 계류 중인 북한인권법의 통과를 위해 꾸준히 야당의 합의를 촉구하고 있다.[78] 마크 리퍼트 주한미국대사의 피습사건과 관련해서는 미국 의회에 서한을 보내 유감과 위로의 뜻을 표하고 한미동맹 강화를 당부하였다.[79] 또한 외교통일위원장으로서 11월 30일 외통위 전체회의를 열어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동의안 등을 처리하였다.[80] 이것은 매우 주목할 만한 일로, 한-중 각국 정상 협상 타결 후 1년 만에, 정식 서명한지 6개월 만에 한중 FTA(자유무역협정) 비준동의안 통과(본회의 가결)라는 성과를 내었다.[81] 또한 일본이 조선인 강제노동시설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나경원은 명확하게 반대의견을 고수했다. 나경원은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일본 정부의 조선인 강제 징용 시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 규탄 결의안'을 의결하는 한편,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 의회를 대상으로 서한을 발송, 등재 저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국회 차원의 협조를 요청하는 등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왔다. 이후 유네스코 사무총장인 이리나 보코바를 만나 우려를 전달하거나 외통위원회 소속 위원들을 중심으로 대표단을 구성, 위원국들을 방문하는 방문외교를 통해 꾸준히 등재 반대를 위한 노력을 펼쳤다.[82] 또한 외통위원장으로서 멕시코를 방문하여, 양국 간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려 노력하는 등 다양하고 즉각적인 외교활동들을 펼치고 있다.[83] 북한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앞서 언급한 북한 인권 문제나 북핵 문제에 관해서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는 동시에 통일 외교의 중요성과 북한의 동시 발전을 강조하는 투 트랙 외교를 보여주고 있다. 2016년 1월6일 북한이 제4차 핵실험을 강행한 것과 관련해서는 '북한의 제4차 핵실험 규탄 및 핵폐기 촉구 결의안'을 제안해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통과시켰다. 통과된 규탄 결의안에서 "북한이 우리나라와 국제 사회의 거듭된 우려와 경고를 무시하고 제4차 핵실험을 강행한 것을 강력히 규탄한다"며 "이러한 도발행위 및 핵보유 시도는 남북관계는 물론 한반도와 동북아시아를 넘어 국제사회 전체의 평화와 안정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84] 또한 미·러 주한대사들과 만나 북핵 제재 UN 안보리 결의를 요청하고[85], EU연합 회원국 대사들을 국회로 초청, 北제재 결의안 위해 적극적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하는 등[86]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 이어 미국의 핵심 싱크탱크인 브루킹스 연구소 및 헤리티지재단 관계자들과 면담을 갖고, 북핵문제 대응을 비롯한 외교‧안보 현안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87] 한편 통일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프랑스 파리를 방문할 때는 이리나 보코바(Irina Bokova) 유네스코 사무총장에게 북한 방문을 제안하면서 북한의 문화유적 발굴 사업에 대한 유네스코 차원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하기도 했다.[88] 또한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를 만나 “북한의 개혁, 개방을 위해 IMF 등 국제금융기구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이를 위해 ‘대북 기술원조’ 및 ‘IMF-세계은행 연차총회 북한초청’ 등의 경제협력 방안을 제안했다.[89] 또한 남북 문화교류의 하나로 개성 만월대를 방문하는 등 남북관계의 개선을 위한 노력도 병행했다.[90]

제20대 국회의원
2016년 12월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에 찬성 결의하였다.[91]

2018년 12월 12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103표 중 68표를 얻어서 35표를 얻은 김학용 의원을 제치고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로 선출됐다. 하지만 선거제 개혁안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안 등의 패스트트랙 지정에서 자유한국당의 선진화법 위반[92]논란과 이어진 국회공전[93], 국회 정상화에 대한 여야 원내대표 간 합의안의 의원총회 추인 실패[94]등 원내대표로서의 정치적 협상력과 리더십을 보여주지 못하고있다.[95]

경력
1995.03 ~ 1999.02 부산지방법원 판사
1999.03 ~ 2002.02 인천지방법원 판사
2002.02 ~ 2002.09 서울행정법원 판사
2002.09 ~ 2002.12 제16대 대선 이회창 후보 여성특별보좌관
2002.10 법무법인 바른 변호사
2003.12 한나라당 공천심사위원회 위원
2004.05 ~ 2008.05 제17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한나라당)
2004.07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
2004.07 ~ 2005.11 한나라당 장애인복지특별위원회 위원장
2005.01 ~ 2006.01 한나라당 원내부대표
2004.07 장애아이 위캔 회장
2006.06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2006.07 ~ 2008.03 한나라당 대변인
2007.10 제17대 대선 이명박 후보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
2007 ~ 한국장애인부모회후원회 공동대표
2008.05 ~ 2011.09 제18대 국회의원 (서울 중구, 한나라당)
2008.06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간사
2008.06 ~ 2009.05 한나라당 제6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
2008.07 ~ 2016.09 손기정기념재단 공동이사장
2009.05 한나라당 쇄신특별위원회 위원
2009.05 ~ 2011.04 한국스페셜올림픽위원회 명예회장
2010.07 한나라당 최고위원
2010.07 한나라당 공천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2010.07 ~ 2013.12 사랑나눔위캔 회장
2010.11 ~ 2013.06 2013 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 세계대회 조직위원회 위원장
2011.02 ~ 스페셜올림픽국제본부 SOI 이사
2011.05 ~ 2016.07 제2대 스페셜올림픽코리아 SOK 회장
2011.07 ~ 2012.01 한나라당 최고위원
2011.08 ~ 2011.09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홍보대사
2011.09 제48회 대종상영화제 공동명예조직위원장
2011.10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한나라당 후보
2013.03 ~ 2014.03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초빙교수
2013.11 ~ 2017.09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 집행위원
2014.05 ~ 2014.07 숙명여자대학교 석좌교수
2014.07 ~ 2016.05 제19대 국회의원 (서울 동작구을, 새누리당)
2014.08 ~ 2015.02 제19대 국회 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2014.08 제19대 국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14.09 국회 한일의원연맹 여성위원장
2015.02 ~ 2016.05 제19대 국회 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
2015.05 제19차 한미일 의원 회의 한국대표단
2014.09 ~ 2015.06 새누리당 서울시당 위원장
2014.09 ~ 2015.04 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원회 부위원장
2015.03 ~ 2015.06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고위정책과정
2015.04 ~ 한국여성의정 공동대표
2015.12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고위급 세션 한국 대표
2016.05 ~ 제20대 국회의원 (서울 동작구을, 새누리당→자유한국당)
2016.06 ~ 2018.06 제20대 국회 전반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
2016.07 ~ 2017.06 제20대 국회 저출산고령화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
2017.03 ~ 국회 한·네덜란드 의원친선협회 회장
2017.03 ~ 국회 한·미 의원외교협의회 부회장
2016.07 ~ 국회생명존중포럼 대표의원
2016.07 ~ 미래인사포럼 대표의원
2017.01 ~ 2017.12 제20대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위원
2017.12 ~ 2018.05 제20대 국회 미세먼지대책특별위원회 위원
2018.01 ~ 2018.06 제20대 국회 헌법개정 및 정책개혁 특별위원회 위원
2018.07 ~ 제20대 국회 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2018.12 ~ 제20대 국회 후반기 운영위원회 위원
2018.12 ~ 제20대 국회 후반기 정보위원회 위원
2016.06 ~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상임의장
2016.07 UIA 2017 서울세계건축대회 명예위원
2016.09 ~ 2016.11 새누리당 인재영입위원장
2016 대한민국장애인문화예술대상 대회장
2017.10 ~ 2018.03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및 패럴림픽 조직위원회 위원
2018.05 ~ 2018.06 : 제7회 지방선거 자유한국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
2018.12 ~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2018.12 ~ 2019.02 자유한국당 혁신비상대책위원
2019.02 ~ 자유한국당 최고위원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부회장
견해
국가보안법 폐지 반대
국가보안법 폐지에 반대했으며,[96] 개정에 동의했다.[97]

경제적 입장
2004년 출자총액제한 제도 및 계좌추적권 도입, 대기업 계열 금융·보험사 의결권 축소 등에 반대했었다.[98] 2004년에는 보험자회사를 둔 은행만 살찌는 등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99] 는 이유로 방카슈랑스 2단계 도입에 대한 우려를 표현하기도 하였다.[100] 또 2004년 국정감사에서 통신 시장에 대한 규제가 자율경쟁을 해치고 소비자의 편익을 침해할 소지가 있다는 주장을 하기도 했다.[101]

나경원은 11월 18일에 있었던 헌법재판소의 미디어법 국회처리 관련 판결 뒤, 11월 19일의 MBC 100분 토론에 나와 헌법 재판소가 미디어법이 유효하다고 판결했다는 주장을 했으나, 다른 패널이 "헌재 사무처장이 미디어법이 유효하다고 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이에 나경원은 사무처장의 말이 헌재를 대표하지 않으며 중요한 것은 헌재가 기각 결정을 내렸으므로 미디어법은 유효한 것으로 봐야한다고 밝혔다.[102]

사건
나경원 딸 성신여대 부정입학 의혹
비영리 독립언론 <뉴스타파>는 2016년3월17일 ‘새누리당 나경원 의원의 딸인 김아무개씨가 2012학년도 성신여대에 입학하는 과정에서 부정행위가 발생했지만, 학교 측이 이를 묵인하고 특혜를 줘 대학에 입학할 수 있었다’며 부정 입학 의혹을 제기했다.[103][104]

이에 대해 나경원은 이를 보도한 뉴스타파 황모 기자를 고소했고 재판에 넘겨진 황모 기자는 1심에서 무죄를 받았다. 서울중앙지법 형사17단독 서정현 판사는 8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법상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황 기자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다소 과장되거나 평가로 볼 여지가 상당하지만 허위 사실을 적을 것이라 볼 수 없다"며 "보도 내용은 공공의 이익에 관한 것으로써 피해자를 비방할 목적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양형이유를 설명했다.[105][106]

자위대 행사 참석
2004년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주한 일본대사관이 자위대 창립 50돌 행사를 열였을 때 나경원이 행사에 참석하여 논란이 일었다.[107] 이에 대해 논란이 일자 나경원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당시 제가 국회의원 되자마자였는데 일본 대사관에서 하는 행사라서 가야된다고 해서 갔는데 가서 보니까 자위대 창립 행사라서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당시 일본 대사관의 방명록 이런 것을 보시면 제가 참석 안 했다는 것을 아실 겁니다."라고 밝히었다.[108] 이후 나경원 의원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하여 "자위대 행사에 참석했다는 비난의 글이 많다. 정황은 이렇다", "초선으로 의정활동을 시작한지 얼마 안됐을 때 행사 내용을 모른 채 갔다 현장에서 뒤늦게 알고 되돌아 왔다", "처음 이 문제가 제기됐을 때 답변한 후 더 이상 언급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이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 변명처럼 보일까 우려되기도 했고, 행사 내용을 미처 살피지 못한 저의 불찰도 있었기 때문", "오늘 트위터에 속 시원하게 얘기를 해달라는 요청이 많아 글을 드린다"라고 밝히었다.[109] 하지만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윤미향 대표는 “서울의 중심에서 자위대 창설 50주년 기념 행사를 하는데 국회의원들이 참석한다는 게 말도 안 돼 국회의원실에 직접 공문을 보냈다”며 나경원이 무슨 행사인지 모르고 갔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른 해명이라고 반박하였다.[110] 윤 대표는 지난 해 나 의원이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50만 국민 서명’에 함께 했다고 알리기도 했다. 윤 대표는 “초선 의원 때에 비해 지금은 위안부 문제에 좀 더 관심을 갖고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111]

BBK 관련 발언
2007년 나경원은 한나라당 대변인 시절, BBK 주가 조작 사건과 관련하여 이명박 대통령 후보가 "BBK 설립했다"라고 말한 동영상이 공개된 데 대해 "다소 과장되고 오해의 소지가 있는 표현이 있었을 뿐 ‘내가 설립했다’고 하지 않았으니 설립한 거라고 보기 힘들다[112]. 이것을 이명박 후보가 설립했다고 단정짓는 것은 명백한 허위사실이다"라는 발언을 하여 비판을 받은 바 있다.[113] 이에 대해서 일부 언론과 대통합민주신당이 당시 발언의 앞부분만 떼어내서 해석을 해서 오해를 빚었다고 해명했다.[114]

여교사 관련 발언
2008년 11월 11일 나경원 의원은 경남 진주시에서 열린 경남 여성지도자협의회 정기총회에서 "1등 신붓감은 예쁜 여자 선생님, 2등은 못생긴 여자 선생님, 3등은 이혼한 여자 선생님, 4등은 애 딸린 여자 선생님"이라는 발언을 했다. 이 말에 야당과 여성 단체, 전국교원노동조합 등이 반발했다. 이에 나경원 의원은 “교원평가제에 대한 설명을 하던 중 교사에 대한 처우가 좋고, 우수한 이들이 교사가 된다는 말을 하다가 시중의 우스개 얘기를 전했을 뿐”이라며 “여교사를 비하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115]

천안함 구조대원 빈소 촬영
나경원 의원은 2010년 4월 천안함 침몰 사고 당시 수색작업 중 순직한 고 한주호 준위의 빈소를 찾았고, 보좌진이 이 모습을 사진에 담아 나 의원의 미니홈피에 올린 것이 논란이 됐다.[116] 그러나 당시 한 준위 빈소 조문에는 나 의원 이외에도 민주당의 정세균 대표와 김진표 의원, 국민참여당의 이재정 대표와 유시민 전 의원 등이 참여했고, 이들 역시 자신들의 활동을 각자의 홈페이지에 올려놓았다.[117] 이후 나경원 의원은 당시 논란에 대해 "빈소에 여야 의원이 많이 갔고, 다들 ‘조문하는’ 사진을 찍었다. 그걸 미니홈피에 올리는 것은 지역구민들에게 내가 오늘 이런 일을 했다는 일종의 활동 사진이기 때문이다"라고 입장을 밝혔다.[118]

장애인 목욕 봉사 노출
2011년 9월 27일 나경원은 서울 용산구 후암동에 소재한 한 중증장애인시설을 찾아 빨래·목욕·식사보조 등 봉사활동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12세 장애아동의 알몸 목욕장면이 노출됐고, 이를 취재진이 촬영해 논란이 됐다. 민주당은 이에 대해 "나 의원이 이런 연출된 상황을 직접 지시했을리는 없겠지만 현장에서라도 이런 어처구니없는 상황을 바로잡아 아이들이 상처받지 않도록 했어야 마땅하다"고 비판했다. 이에 나경원측은 "목욕봉사를 들어갈 때에는 취재진에게 들어오지 말아달라고 협조 요청을 했는데 카메라들이 통제가 안된 상황에서 들어왔다", "우리가 먼저 목욕 봉사 장면을 찍어달라고 요청한 적은 없다"고 해명했다. 또한 욕실에 있었던 반사판 등 전문 촬영 장비도 나 의원 측이 설치한 게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가브리엘의 집 관계자는 "평소 아이들 사진을 찍어주는 전문 사진가가 이날 촬영을 위해 설치한 것"이라고 밝혔다.[119] 나경원 의원은 2011년 9월 28일 YTN과의 인터뷰에서 "제 삶에 있어 특히 장애인의 인권에 대해서 저만큼 생각하는 사람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데 그런 논란이 벌어져 안타깝다", "더 설명을 드리고 싶어도 또 다른 얘기들을 하실까봐 말을 아끼고 있다"고 말하며, "저는 해당 시설에 가서 1시간 반 이상 봉사활동을 하고 온 것이니 그 부분을 헤아려달라"라고 덧붙였다.[120]

대통령 사저 관련 발언
노무현 전 대통령과 이명박 전 대통령 사저와 관련하여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나경원 당시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는 2011년 10월 17일 오전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하여 이명박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 부지 문제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 사저 문제나 노무현 전 대통령의 봉하마을이나 모두 비판할 만한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나 후보는 "(봉하마을에 대한 비판과) 같은 시각으로 내곡동 사저에 대해서도 국민 정서와 안맞고 눈높이를 맞춰 생각해야 한다는 취지의 말을 했고, 그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121]

SNS 셀프 지지
2011년 10월 15일,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나선 한나라당 나경원 후보가 자신의 트위터에서 스스로를 지지하는 ‘자화자찬’하는 글을 올려 논란이 일었다. 자신이 작성한 글을 리트윗(재인용)해 “콘텐츠가 있는 공약과 정책 정말 멋집니다” 등 자신을 지지하는 댓글을 달았다. 이에 네티즌들이 ‘나르시즘 나경원’ ‘자화자찬도 유분수’ ‘알바의 실수인가’ 등의 지적을 하자 나경원 측은 2011년 10월 16일 해당 트위터 글을 삭제하고 “확인 결과 시스템 간에 충돌이 일어나 계정 연동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현재 오류를 바로 잡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2011년 10월 20일 한 트위터 사용자가 나경원 트위터 멘션 오류에 대해 트위터 본사에 문의한 내용을 온라인에 게시했는데 트위터 본사 답변에 따르면 “나 후보 측의 트위터 글은 트위터 내부 오류나 장애가 아니다”라며 “후보자는 트윗을 포스팅 하기 위해 외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이어 “이같은 오류나 장애는 트위터가 아닌 이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것으로 보인다”며 트위터 계정 연동 오류가 아니라고 밝혀 '계정 연동 시스템 오류'라던 나경원의 해명이 거짓말로 드러났다.[122]

사학재단 관련
MBC 방송에서 라디오 인터뷰 도중에 홍신학원과 관련된 질문을 받자, 나경원은 "아버지의 학교고 관련이 없다"고 답했다. 하지만 홍신학원은 아버지 학교임과 동시에 나경원 후보가 2001년부터 현재까지 이 학교의 이사로 있었다. 정봉주 전 의원은 “나경원 후보가 심각한 거짓말을 한 것”이라며 “아버지 학교니까 나한테 얘기하지 마라, 이건 말이 안 맞는 얘기”라고 비판했다.

그리고 정봉주 전 의원은“나경원 후보가 ‘그 학교는 감사 대상에 들어가지 않았다’라며 아버지가 이사장으로 있는 화곡중·고, 화곡여상을 지칭했는데, 화곡중·고등학교는 이미 우리보다 앞선 16대 국회 때 국회에서 감사 자료를 제출하라고 요구하자 한 50일 동안 시간을 끌다가 결국 그 학교만 유일하게 감사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다”며 “왜 제출하지 않았느냐고 물었더니 행정실장이 감사 자료를 불태워버렸다고 국회에 직접 해명을 할 정도였다. 학교 자료를 불태울 정도로 심각한 문제가 있었던 학교다”라고 지적했다.[123]

박사모 회장의 '관기' 발언 관련 고소
2008년 6월 13일 박근혜 지지모임인 박사모(박근혜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의 정광용 회장이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에 출연해 당시 한나라당 의원인 나경원을 "사또가 바뀌면 아무에게나 달려드는 관기"라 말해 파문을 일으켰다[124] 2008년 6월 27일 나경원은 박사모 회장 정광용을 명예훼손 등으로 고소하고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하였다.[125] 고소 1년후인 2009년 10월 26일 서울중앙지검은 한나라당 나경원 의원을 모욕한 혐의로 지명수배 중이던 박사모 정광용 회장을 구속했다.[126] 구속 하루만인 2009년 10월 27일 박사모 카페 게시판에 "본인 정광용의 부적절한 발언으로 인해 나경원 의원님을 모욕한 점에 대하여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라는 정광용 회장 명의의 사과문이 게재되었다.[127] 2009년 10월 30일 서울중앙지법은 나경원 측의 고소 취하로 정광용을 석방했다[128]

불법 정치자금 수수 의혹
나경원이 초선 의원이던 시절 부친이 설립자이고 자신이 이사로 있던 홍신학원 재직 교사들로부터 불법 정치후원금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불법 후원금 수수 의혹에 대해 나경원은 2011년 10월 18일 CBS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후원자를 일일이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히 모르겠다고 밝히면서 초창기에 일부 교사가 (후원금을) 냈다는 얘기를 얼핏 들은 적은 있지만 집단적으로 냈다는 얘긴 전혀 들은 바 없다고 말했다. 나경원은 이어 교사들이 낸 후원금을 돌려줄 의향이 없냐는 물음에 후원금이나 정치자금은 해당 연도가 지나면 돌려주지 못한다고 답했고, 누가 후원금을 냈는지 검토해보지 않았냐는 거듭된 질문에도 소액으로 들어왔는지 여부도 정확히 알지 못한다고 했다.[129]

이후 오마이뉴스는 나경원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2004년 정치자금 수입명세서를 입수해 확인한 결과 거기에 일부 기부자의 직업이 교원으로 표시되어 있다는 사실과 해당 교원들의 전화번호가 흥신학원 소속 학교의 국번과 일치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130] 오마이뉴스는 또한 2004년 당시 흥신학원 재단 소속 학교에 근무하던 교사들로부터 학교측의 기부 종용이 있었다는 증언도 나왔다고 보도했다. 이때 여러 교사들이 나경원 의원에게 정치후원금을 냈는데, 일부 교사들은 교사의 정치후원금은 불법이라고 알고 있었기 때문에 교육부에 질의를 했고 이에 대해 교과부는 초중등교원은 정치기부행위를 할 수 없다는 내용의 회신을 보내왔다. 이처럼 일개 교사도 정치후원금을 내는 것이 불법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는데 판사출신인 나경원 의원이 불법인줄 몰랐겠냐는 의혹을 제기하였다. 한편, 나경원은 2011년 10월 20일 KBS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는 2004년 당시에는 공무원들도 선거 정치자금을 내는 것이 금지되지 않았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오마이뉴스가 교과부에 확인한 바에 의하면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한다. 교과부 교원복무 담당자는 전화통화에서 교원의 정치자금 기부를 금지하는 규정은 1949년 제정된 이래 바뀐 적이 없었고 따라서 교사의 정치자금 기부가 합법이었던 적은 없었다고 밝혔다.[131]

이 문제는 특히 정치후원금을 제공한 혐의로 현재 재판을 받고 있는 일부 전교조 교사들과의 형평성 문제 때문에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한겨레신문은 사설을 통해 나경원에게 후원금을 낸 교사들이 유무형의 압력에 시달렸을 가능성을 지적하면서 특히 한나라당이 민노당에 1~2만원의 후원금을 낸 교사들을 문제삼았다는 점 때문에 나경원의 정치자금 수수는 더욱 파렴치하게 여겨진다고 비판했다.[132] 민주당 우상호 대변인 역시 "전교조 교사들이 민노당을 후원한 일로 고발을 당해 재판을 받으며 고통받고 있는데 법조인 출신 나 후보가 이 사실을 잘 모르겠다고 회피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133]

재산 신고 허위 기재 의혹
2011년 10월 19일, 시사IN의 주진우 기자는 "나경원 서울시장 후보가 700만 원이라고 재산 신고한 2캐럿 다이아몬드에 대해 금은방에 가서 직접 물어봤다. 1억 5000~1억 7000만 원을 얘기했다. 700만 원짜리는 공업용 다이아몬드나 가능하다고 했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나경원 후보측은 "해당 반지는 나 후보의 시어머니가 23년 전에 준 것"이라며 "나 후보가 재산공개를 하려고 23년 전 결혼할 때 받은 반지의 가격을 몰라 시어머니에게 물었더니 '700만원'이라고 해서 그렇게 한 것"이라고 해명했으며, 2014년 7.30재보궐 당시에는 전문감정법인의 감정을 받아 1600만원으로 수정신고하였다.[134]

평창올림픽 조직위원 파면 청원 논란
2018년 1월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조직위원으로 활동하던 나경원 의원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에 여자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구성에 반대한다는 서한을 보내 논란을 빚었다. 이후 나경원 의원의 올림픽 조직위원 직 파면을 요청하는 '청와대 국민청원' 글이 게시되었고 2018년 2월 19일 36만 905명이 동참해 ‘한 달 내 20만 명 이상 참여’라는 청와대의 답변 기준을 충족했다. 이에 청와대 김홍수 교육문화비서관은 "서한 발송이 조직위 정관에서 정한 해임사유인지 여부는 청와대로서는 알 수 없다. 조직위는 사유에 따라 위원총회 의결을 거쳐 조직위원장이 위원을 해임할 수 있게 돼 있다."고 답변하며 청와대에는 해임 권한이 없음을 밝히고 논란을 일단락 시켰다.[135]

논란에 대해 나경원 의원은 "남북 단일팀은 선수 당사자의 의사도 물어보지 않은 정치적 쇼잉(showing)에 불과하며 인생을 쏟아부은 선수들이 정권의 정치쇼에 희생당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남북단일팀에 대한 여론이 상당히 나쁘다는 것을 현 정권도 알고 있다"며 "그런데도 정권은 단일팀을 강행했고, 이는 국제 사회에 마치 한국인들이 단일팀을 지지하는 듯한 인식을 줄 우려가 있었다."고 밝혔다. 내로남불이라는 비판에 대해서 나 의원은 "일부 여권인사들이 내가 예전엔 북한 선수들의 평창 참가를 독려했으면서 이제 와서 말을 바꿨다고 하는데 사실을 완전히 잘못 얘기하는 것"이라며 "스포츠 정신에 입각해 정당한 북한 선수단의 올림픽 참여에 찬성하고, 북한 선수단 관계자들을 수차례 만나 이와 같은 의사를 전달했었던 건 사실이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정치적 쇼잉의 단일팀은 반대한다는 것"이라고 해명했다.[136]

나경원 비서 막말 논란
2018년 5월 21일 나경원 자유한국당 의원 비서인 박창훈씨가 평소 페이스북에서 나경원 의원을 비판한 중학생과의 전화 통화에서 막말과 협박을 해 논란이 일었다. 공개된 통화 녹음 파일에 따르면 "부정선거로 당선된 XX들이 뭔 말이 많아", "김대중·노무현이 나라 팔아먹었지. 문재인도 나라 팔아먹고 있지." 라는 말과 함께 "죄를 지었으면 죗값을 받아야지. 어디서 나가서 죽고 XX이야. 왜 죽었는데? X팔리니까 그런 거야.", "(노 전 대통령이) 박근혜 대통령보다 더 심한 짓도 많이 했는데 그냥 죽었지. 국민에 의해 사형당한 거야." 라며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을 조롱 및 비하하는 발언도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또 "조만간 얼굴 한번 보자. 내가 찾아갈게, 너희 학교로. 한번 어떻게 되는지 보자."라며 해당 중학생이 위협을 느낄 듯한 발언도 있었음이 확인됐다. 논란이 일자 나경원 의원의 비서인 박창훈씨는 페이스북에서 “30대 중반이 넘은 어른으로 중학생에게 차마 하지 말아야 할 말을 한 점 변명의 여지가 없다”며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을 한 제 잘못을 깊게 뉘우치고 반성하겠다”고 밝혔으며 나경원 의원도 페이스북을 통해 “의원실 소속 비서의 적절치 못한 언행으로 인해 피해를 본 당사자분들에게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전적으로 직원을 제대로 교육하지 못한 저의 불찰”이라고 사과했다. 이어 “해당 직원은 본인 행동에 대해 깊이 뉘우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사과의 말을 전했다.[137]

고성 산불 정의용 안보실장 이석 지연 사건
2019년 4월 5일 강원도 고성에서 대규모 산불이 발생했을 당시 국회 운영위원해 전체 회의에 청와대 업무보고 중이던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의 이석을 막아 논란이 되었다. 논란이 확산되자 나경원은 “저녁 식사 시간 ‘산불의 심각성으로 안보실장이 먼저 이석하겠다’고 (여당이) 양해를 구한 바가 전혀 없다”며 오후 9시 30분쯤 홍 원내대표가 불이 났는데 보내야 하지 않겠느냐고 했고, 저희는 심각성을 정확히 모르는 상황에서 서너분 질의 예정이라 길어야 30∼40분이니 끝나고 가면 어떻겠냐고 말했다”고 해명했다. [138] 하지만 당시 동영상에서는 홍 원내대표는 회의 중 고성 화재의 심각성에 대한 설명을 하고 안보실장 이석에 대한 양해를 구하였으나 자유한국당 의원들의 반대로 10시 38분 이 지나서야 정의용 안보실장은 이석할 수 있었다. [139]

`문빠·달창` 발언 논란
2019년 5월 11일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가 자유한국당 대구 장외집회에서 문재인 대통령 취임 2주년 특별대담을 언급하며 “(대담 질문자로 나선)KBS 방송사 기자가 요새 문빠, 달창들에게 공격을 당하고 있다”,“대통령한테 독재 어떻게 생각하냐고 묻지도 못하냐. 묻지도 못하는 거, 이게 바로 독재 아니냐”고 발언하였다.[140] 해당발언이 논란이 되자 “문 대통령의 극단적 지지자를 지칭하는 과정에서 그 정확한 의미와 표현의 구체적 유래를 전혀 모르고 특정 단어를 썼다”며 “인터넷상 표현을 무심코 사용해 논란을 일으킨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사과문을 발표했다.[141]

DAIGO

Daigo Umehara (Japanese: 梅原 大吾 Hepburn: Umehara Daigo, born 19 May 1981) is a Japanese arcade fighting video game player. He specializes in 2D arcade fighting games, mainly those released by Capcom. Known as "Daigo" or "The Beast"[5] in the West and "Umehara" or "Ume" in Japan, Daigo is one of the world's most famous Street Fighter players and is often considered its greatest as well.[6] He currently holds a world record of "the most successful player in major tournaments of Street Fighter" in the Guinness World Records.[7][8][9]

Before properly being called a pro gamer[10] from signing a sponsorship deal with Mad Catz,[11] Japanese media usually referred to Daigo as "the god of 2D fighting games" (2D格闘ゲームの神 2D Kakutō Gēmu no Kami)
Daigo began going to an arcade game center and playing fighting games as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around 10 years of age.[10][18] Street Fighter II and Fatal Fury: King of Fighters had recently been released and were Daigo's first two fighting games.[10] Street Fighter II often had a very long line with older players, so he began learning Fatal Fury first.[10] After some time and due to the limited time he could stay at the game center, Daigo started challenging other players in Street Fighter II' (Champion Edition) for an opportunity to play even though he felt shy and had to ask for permission. This was when he discovered that he preferred competing with other players.[10]

Around the time when he was a 13-year-old middle school student,[10] Daigo shifted his main game to Vampire Hunter because he thought he was more skilled in that game than in Street Fighter II.[10] He developed a reputation in Vampire Hunter by setting a 286-win streak record[19] in a single outing before he was forced to leave due to Akihabara Sega (now Club Sega[20]) game center closing for the day.[10][21][22] Umehara enrolled in his first tournament when he entered GAMEST Cup's national Vampire Hunter tournament in 1995,[23] losing in the block's finals.[24] His first tournament victory came at his second tournament, GAMEST Cup's national Vampire Savior tournament in 1997, where he defeated Ōnuki (now Nuki) in the finals.[24][25][26]

In 1998, at the age of 17 Daigo participated in Capcom's official Street Fighter Zero 3 national tournament and advanced to the finals which took place on a stage in Tokyo Game Show 1998: Autumn on October 11.[27] After winning the tournament by defeating Ōnuki 3-1, Daigo, as the champion, went on to face Alex Valle, the winner of the U.S. national Street Fighter Alpha 3 tournament. The international "Grand Championship" was held in San Francisco, California on November 8. This was Daigo's first trip to the U.S. and his first overseas tournament appearance.[28] The match was best of three games, with five-round games. Daigo came from behind to win 2-1.[29][30] Both events aired as a 50-minute TV report in Japan.[31]

In September 2001, Daigo's popularity led to the publishing of a mini-autobiography called VERSUS (known as "Umehon" (ウメ本) or "Ume Book" by fans). The book's content is separated into six chapters chronicling the games in which he competes and includes background stories, anecdotes of competitions, and analysis of his opponents.[21]

In 2002, Daigo appeared in a U.S. versus Japan exhibition in Japan. American players competed in four games (Super Street Fighter II Turbo, Street Fighter Alpha 3, Street Fighter III 3rd Strike and Marvel vs. Capcom 2) for the right to battle Japan's best players in those respective games. Umehara only entered the 3rd Strike exhibition, but defeated all of his opponents, ending each round with Ken's fierce Shoryuken. These events were filmed for the documentary Bang the Machine.[32][33]

In 2003, Daigo won the Super Street Fighter II Turbo tournament in the first Super Battle Opera (Tougeki) and won the same game in Evolution Championship Series when he joined the event for the first time in the same year, making him the first player to win both the SBO and Evolution in the same year on the same game. Umehara also went to Evolution 2004 and Absolution 2004[34] on April 18 in England and won on SSFII Turbo there.[24][35]

Daigo has participated regularly in a number of tournaments, appearing in at least one each year since his start in 1997, with a brief hiatus in 2008
Play style
Throughout his career, Daigo Umehara's main character has been Ryu and his play style based on zoning (keeping the opponent at a specific distance) even though he is also adept in close combat. Since Street Fighter V's balance patch[37][38] in December 2016 that nerfed Ryu to balance the game, Daigo switched to Guile, a charge character. Daigo said, "I don't care if I play a top tier character. I don't need to pick a top tier character, but I want to have a character that can fight the top tiers. It's boring if you go to tournament and you know you're going to run into a really bad match up, it's like 'Oh, I can't win because of the match up'".[39] Hesitating between Urien and Guile, he finally chose the latter, but decided to try Ryu one more time in Topanga League 6 and Final Round 20. His disappointing results (he finished respectively last and 33rd) made him give up on Ryu.[40] Since then, he has continued to play with Guile in spite of a new balance patch that partially restored Ryu in 2017[41][42] Daigo Umehara's results with Guile have noticeably weakened compared to with Ryu.

Evolution 2004
Main article: Evo Moment 37
Despite having never matched off against him before, Umehara was known for having a supposed rivalry with the American Justin Wong due to their differences in gaming philosophies. The two players met each other in the loser's finals of Evo 2004's Street Fighter III: 3rd Strike tournament. Umehara, playing using the character Ken, was down to his last pixel of vitality and any special attack by Wong's Chun-Li could knock Ken out. Wong attempted to hit his opponent with Chun-Li's multihit "Super Art" move, forcing Umehara to parry 15 attacks in a very short period of time. Umehara did so successfully and went on to counter a final kick of Chun-Li in mid-air before launching a combo move himself and winning the match. Though Umehara lost the grand finals to Kenji Obata, the clip of him parrying Wong's multihit attack became hugely influential and has been compared to famous sports moments such as Babe Ruth's called shot and the Miracle on Ice.[43][44]

Street Fighter IV era
In July 2008, Umehara came out of retirement[45] and became competitive once again. This time, his focus was on the newly released Street Fighter IV. Because of this, Japanese arcade gaming magazine Arcadia has included a DVD featuring "Umehara Concept Matches" in its January 2009 issue (released on November 29, 2008) and "The God has returned" was stated in Umehara's player introduction part. The DVD contains exhibition matches between him and Japan's 6 top players such as Inoue, Itabashi Zangief, Fuudo, Nemo, and Mago.[46]

2009
On March 5, Umehara made an appearance as the "god of the fighting games world" on the TV show "Gamer's Koshien". He and four other top Japanese players (Soushihan KSK, Itabashi Zangief, Mago, and Tokido) competed with each other and with celebrities in a Street Fighter IV round-robin tournament.[13][47]

On April 18, at GameStop's Street Fighter IV National Tournament 2009 in San Francisco, California, four players from three countries held exhibition matches following the main competition. Umehara, who came by Capcom's invitation, defeated players Iyo, Poongko and Justin Wong to win the tournament. For the win, he was awarded a free trip to Evolution 2009 in Las Vegas.[48][49]

Umehara began writing a column in Arcadia called Umehara Column: Michi, starting with the August issue.[50] ("Umehara Column: Street")

Thanks to his win at the GameStop tournament, Umehara entered the Evolution 2009 Street Fighter IV competition as a seeded player in the semi-finals on July 18, which was the second day of the event. In the third and final day, Umehara defeated Justin Wong and placed him in the Losers Bracket, then advanced to the grand finals only to meet Wong again. The two fought until the last game possible, but Umehara ultimately won the competition.[51][52][53]

The September issue[54] of Arcadia magazine included a DVD featuring a set of "Umehara's Concept Matches." This was a follow-up to a previous DVD which released in late 2008.[55][56][57]

On August 7, Umehara participated in an all night tournament called "GODSGARDEN."[58][59]

Umehara participated in exhibition matches in a Street Fighter IV competition in Taiwan on October 10.[60] The matches were broadcast live on Famitsu's web channel.[61]

Umehara returned to America to join a tournament called Season's Beatings, held October 16–18 in Columbus, Ohio.[62][63] He won Super Street Fighter II Turbo HD Remix and Street Fighter IV Singles competition.[64][65]

On November 26, Umehara and five other top Japanese Street Fighter IV players joined a Nico Nico live internet show[66] to talk about the second GODSGARDEN tournament. The show also featured an exhibition match between Umehara and Mago.[67]

2010
Instead of participating in GODSGARDEN #2 (March 6),[68] Umehara flew to France to enter Street Fighter IV tournaments in the World Game Cup[69] gaming event, which took place March 3–7. He placed second in singles and first in 2-on-2.[70][71]

On April 4, Umehara and two teammates participated in an official Street Fighter IV National Tournament[72] and qualified for the top 14. His team was eliminated, in the quarter finals.[73]

Umehara participated in Capcom's Super Street Fighter IV "Fight Club" launch party in Los Angeles, United States on April 23.[74] Umehara held exhibition matches in which he played various characters including Hakan, Guy, and Dee Jay against a dozen challengers. The event closed with a 3-out-of-5 match[75][76] between Umehara and Justin Wong, ending in a double-K.O. draw which left Umehara undefeated all night. It was also revealed at the event that Umehara had accepted a sponsorship deal with Mad Catz and would play under their name in future tournaments. [77][78][79][80][81]

The limited edition of Super Street Fighter IV from the e-CAPCOM store included a special DVD featuring two tournaments between Japan's 8 top players: Umehara, Tokido, Iyo, Shirou, Kin Devu, Momochi, Tokidoki Nukings, and Itabashi Zangief.[82][83] The Super Street Fighter IV Technical Guide published by Enterbrain which was released on April 28 includes a DVD featuring exhibition matches of the new characters played by Japan's 7 top players: Umehara, Tokido, Kin Devu, Iyo, Momochi, Itabashi Zangief, and Shirou.[84][85]

On May 9, Umehara appeared on the NHK Sunday night program "MAG-NET" in a feature about Street Fighter.[86][87]

On May 15, Nico Nico Live held a Super Street Fighter IV online competition where participating online players on Xbox Live got a chance to fight Japan's 3 top players: Umehara, Mago, and Tokido. They also held offline matches and a brief talking segment.[88]

May 29–30, Umehara went to Australia for the first time to participate in Evolution Asia Pacific's Super Street Fighter IV tournament in Sydney. He won the tournament, losing just one game.[89] As the grand prize, he earned a paid flight to Evolution 2010 in Las Vegas where he would start off as a seeded player.[90][91][92][93][94][95][96]

On June 4, Umehara joined the 106th Xbox Live Park online event held by Microsoft Japan with Famitsu's editorial department. During the two-hour event, participating Xbox Live Gold members had the opportunity to chat and face off with Umehara in Super Street Fighter IV online matches.[97]

After getting 2nd place in Nagoya Street Battle 15 (July 4),[98] Umehara joined Evolution 2010 on July 9–11 and faced a tougher challenge than before with over 1,700 players[99] from around the world participating in the Super Street Fighter IV tournament. Nevertheless, Umehara secured a win without ever dropping into the Losers bracket. The live stream of the event set a new record with an approximate 48,000 viewers at its peak across its two channels (Stickam 18,000 and Ustream 30,000).[100][101][102][103][104]

After winning the qualifier on May 22,[105] Umehara's team participated in the Super Battle Opera 2010 Street Fighter IV finals on September 19 and won second place. The event took place as a part of Tokyo Game Show 2010 at Makuhari Messe International Convention Complex.[106]

Umehara participated in the Season's Beatings tournament in Ohio for the second time October 15–17,[107] the Southern California Regionals tournament in Los Angeles November 6–7,[108][109][110] the Canada Cup in Canada November 13–14,[111] and the Northern California Regionals tournament November 20–21.[112] He also attended an exhibition event in Kuwait on November 26.[113]

2012
Umehara published his first book The Will to Keep Winning (勝ち続ける意志力[114] Kachitsuzukeru ishiryoku) on April 2, 2012.[115] The book reached the #1 best-selling spot on Amazon Japan's Kindle store.[116]

2013
On April 13, 2013, Daigo attended the New York University Game Center's fourth annual Spring Fighter event as a special guest alongside Seth Killian. At the event, Umehara and Killian held a talk, in which Umehara discussed his life in and out of the Street Fighter scene.[117]

On June 6, 2013, Daigo spoke at the first in a series of seminars hosted by Tohmatsu Innovation Co, Ltd. targeting business executives.

On Aug. 30, 2013, Daigo had a match against the 2013 EVO Champion Xian. The rule was the first to win 10 matches will be declared the winner. Daigo won the match with a incredible result 10-0 against the world Champion Xian.[118]

A couple of Months later, in a similar match, Daigo beat Infiltration 10-2.[119]

Both matches had many views on YouTube and are considered examples of flawless Street fighter play.

On November 24, 2013, Daigo held a panel at the DODA career fair where he spoke about his experiences as a professional gamer.

2015
During the Stunfest 2015 final, Daigo managed to pull off an impressive 25-hit combo with Evil Ryu against Ken controlled by Momochi who was the best Ultra Street Fighter IV player of the season according to the Capcom Pro Tour 2015 ranking.[120] The combo thrilled the crowd[121] and was acclaimed by the live french[122] and english[123] commentators. It was selected by Capcom as one of the «Most Hype Moments» of 2015 in a retrospective video.[124] « You could hear the crowd go wild and if you were watching the stream you could see the stream chat go crazy[125] » wrote Capcom in an article,[126] while a french spectator who was in the crowd said that « Daigo's incredible 25-hit combo with Evil Ryu stunned the crowd and the opponent ».[127] Daigo finally won the tournament beating Momochi 3-1, 3-1.

Umehara penned a foreword for the September issue of Japan's Harvard Business Review, with the title "得意なことより好きなことを追求する" ("Tokui na koto yori suki na koto wo tsuikyuu suru"|"Pursue that which you like rather than that at which you excel").

In December 2015, Umehara announced his intentions to donate the entirety of his winnings from the Capcom Pro Tour 2015 Finals, a sum of $60,000, to the Evo Scholarship, a New York University scholarship program which offers financial assistance to students wishing to study game design at the NYU Game Center at the Tisch School of the Arts.[128] The NYU Game Center confirmed the $60,000 donation on January 6, 2016.[129]

Street Fighter V era
2016
The January issue of the Japanese Harvard Business Review featured a twelve-page interview with Umehara entitled, "感情を制するものはゲームを制す" ("Kanjou wo seisuru mono wa game wo seisu"|"He who controls his emotions controls the game.")

In February 2016, Daigo was narrowly defeated by American rapper and music producer Lupe Fiasco in a Street Fighter V exhibition match.[130] The event, organized by former Mad Catz executive Mark Julio, was live streamed to over 75,000 viewers. Several observers noted that Daigo's timing appeared to be off, and that he did not capitalize on key strategic openings during the match.[130] On April 26, 2016, Daigo held a talk in conjunction with Mizuho bank and medical professor Yoshiki Ishikawa in Osaka, Japan.[131]

In May, 2016, Daigo appeared in the Street Fighter documentary, "格闘ゲームに生きる” (Kakuto geemu ni ikiru | Living the Game), broadcast on WOWOW. Later that month, the documentary was screened at the Hot Docs Film Festival in Toronto, Canada under the name "Living the Game."[132]

On June 1, 2016, Japanese publisher Shogakukan released the book "悩みどころと逃げどころ[133]" (Nayamidokoro to Nigedokoro), a written discussion between Umehara and the popular Japanese blogger Chikirin.

In July 2016, an official English translation of Umehara's first book, The Will to Keep Winning, was sold to Evo attendees as an event exclusive.[134] The book continued to be sold exclusively at fighting game events across the globe throughout the remainder of 2016.

On September 14, 2016, Umehara announced[135] that he had achieved two new World Records recognized by Guinness World Records: "Most views for a competitive fighting game match"[136] (for his famous match against Justin Wong from Evo 2004) and "Highest all-time rank in Ultra Street Fighter IV."[137] Umehara received official recognition for the records via a ceremony held at Tokyo Game Show.

On November 30, 2016, Umehara announced that he had entered a new sponsorship deal with gaming headset maker HyperX.[138]

On December 1, 2016, Red Bull and director Nick McDonald released an eleven-minute documentary on Daigo Umehara entitled, "Mind of a Beast." In the piece, Umehara addressed the pressures of life as a professional gamer, and asserted a distinction between the mythical public figure "Umehara" and the flawed human being, Daigo Umehara.[139]

2017
On January 19, 2017, Daigo gave a two-hour lecture entitled "1日ひとつだけ、強くなる" ("Ichinichi hitotsu dake, tsuyoku naru"|"Getting Stronger Everyday") at the Keio University Marunouchi City Campus.[140] In the lecture, Daigo discussed the ups and downs of carving out a niche as a professional gamer. He spoke to a sold-out audience.[141]

On March 1, 2017, Umehara announced that he had entered another sponsorship with Japanese game developer Cygames, alongside fellow pro fighting gamers Darryl "Snake Eyez" Lewis and Eduardo "PR Balrog" Perez.[142] Together, the three athletes donned the moniker "Cygames Beast," sporting T-shirts with a matching new logo.[143] From March to May 2017, Umehara participated in the ELEAGUE Street Fighter Invitational, during which he played solely as Guile. Beginning in Group B alongside Snake Eyez and PR Balrog, Umehara pushed his way into the Playoffs, ultimately finishing 8th overall.

On May 27–28, Umehara participated in Red Bull Kumite[144] in Paris, France. He placed 4th overall.[145]

On June 27, Umehara appeared in the Red Bull France-produced documentary, "The Art of Street Fighting" alongside fellow pro gamers Xiao Hai, Gamerbee, Tokido, and Luffy.[146]

On July 14–16, Umehara participated in EVO 2017. After a no-loss sweep in Round 1, he was bumped into the Losers bracket by Haitani during Round 2, and ultimately eliminated during the Semi-Finals by longtime rival Justin Wong.[147]

On July 14, Daigo launched the "Beast" apparel brand in conjunction with apparel makers Nsurgo.[148] The brand is represented by Daigo as well as fellow Cygames-sponsored gamers Snake Eyez and PR Balrog.[149]

2018
On March 10, Daigo was challenged by the EVO champion, Tokido, to a first to 10 Match. Tokido felt very strongly about proving that he was able to beat Daigo. Daigo won 10-5, leaving Tokido frustrated.[citation needed]

On July 22, he won the VSFighting Premier Event in Birmingham (United Kingdom).

関東大震災

関東大震災(かんとうだいしんさい)は、1923年(大正12年)9月1日11時58分32秒ごろ(日本時間、以下同様)[注釈 1]に発生した関東大地震によって、南関東および隣接地で大きな被害をもたらした地震災害である
神奈川県および東京府(現:東京都)を中心に隣接する茨城県・千葉県から静岡県東部までの内陸と沿岸に及ぶ広い範囲に甚大な被害をもたらした。

一般に大震災と呼ばれる災害ではそれぞれ死因に特徴があり、本震災では焼死が多かった。また阪神・淡路大震災(兵庫県南部地震)では圧死、東日本大震災(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では溺死が多い[6]。本震災において焼死が多かったのは、日本海沿岸を北上する台風に吹き込む強風が関東地方に吹き込み[7](風害参照)、木造住宅が密集していた当時の東京市(東京15区)などで火災が広範囲に発生したためである。

この災害は、2011年(平成23年)3月11日に発生した東日本大震災以前の日本においては、史上最大規模の被害をもたらした。府県をまたいだ広範囲にわたる災害で未曽有の犠牲者・被災者が発生し、政府機関が集中する東京を直撃して国家機能が麻痺したことから、政府も大規模な対応に追われた。しかし、内閣総理大臣の加藤友三郎が震災発生8日前の8月24日に急死していたため、外務大臣の内田康哉が内閣総理大臣を臨時兼任して職務執行内閣を続け、発災翌日の9月2日に山本権兵衛が新総理に就任(大命降下は8月28日)、9月27日に帝都復興院(総裁:内務大臣の後藤新平が兼務)を設置し復興事業に取り組んだ。

金融の停滞で震災手形が発生し、緊急勅令によるモラトリアムを与えた。復興には相当額の外債が注入されたが、その半分は、火力発電の導入期にあった電力事業に費やされた[注釈 3]。モルガン商会は1931年(昭和6年)までに占めて10億円を超える震災善後処理公債を引き受けたが、その額は当時の日本の年度別の国家予算の6割を超えるものだった[8]。引受にはロスチャイルドも参加した[9]。金策には森賢吾が極秘で奔走した。

日英同盟のころから政府は資金繰りに苦慮していたが、特にこの復興事業は国債・社債両面での対外債務を急増させた。また震災不況から昭和金融恐慌(1927年(昭和2年)3月~)、1930年(昭和5年)に行われた金解禁[10]は世界恐慌(昭和恐慌)に至る厳しい経済環境下で悪影響が大きかったため、翌年には金輸出(再)禁止[11]になった。

この震災により東京市・横浜市から東京府下や埼玉県などの郊外に移り住む者も多く、「天災によるドーナツ化現象」が発生した(参照)。また、大阪府や愛知県など、のちに三大都市圏となる地域に移住する者も多くみられ、特に1925年に近隣の郡部を編入した大阪市は東京市を超え、世界第6位の人口を擁する都市に躍進した。阪神間では阪神間モダニズム後期の大大阪時代を迎え、六大都市の序列に影響を与えた。また東京市電の機能不全を肩代わりさせるため、東京市がT型フォードを約800台輸入してバス事業を開始[12][13](円太郎バス)。すると、全国にバス事業が広まるとともに、輸入トラックを利用した貨物輸送も始まり、旅客および物流におけるモータリゼーションが到来した[13]。電話の自動交換機も普及した[14]。

状況
東京帝国大学理科大学教授寺田寅彦は、上野で開催されていた二科会の招待展示会に出向き、喫茶店で知人の画家津田青楓と歓談中に被災。その時の状況を以下の通り詳細に記録している。
東京市内の約6割の家屋が罹災したため、多くの住民は、近隣の避難所へ移動した。東京市による震災直後の避難地調査[16]によれば、9月5日に避難民1万2千人以上を数える集団避難地は160か所を記録。もっとも多い場所は社寺の59か所、次いで学校の42か所だった。公的な避難場所の造営として内務省震災救護事務局が陸軍のテントを借り受け、明治神宮外苑、宮城前広場などに設営された。また9月4日からは、内務省震災救護事務局と東京府が仮設住宅(バラック)の建設を開始。官民の枠を超えて関西の府県や財閥、宗教団体などが次々と建設を進めたことから、明治神宮や日比谷公園などには瞬く間に数千人を収容する規模のバラックが出現したほか、各小学校の焼け跡や校庭にも小規模バラックが建設された。震災から約2か月後の11月15日の被災地調査[17]では、市・区の管理するバラックが101か所、収容世帯数2万1,367世帯、収容者8万6,581人に達している。一方、狭隘な場所に避難民が密集したため治安が悪化した。一部ではスラム化の様相を見せた[18]ため、翌年には内務省社会局・警視庁・東京府・東京市が協議し、バラック撤去の計画を開始している。撤去にあたっては、東京市が月島・三ノ輪・深川区・猿江に、東京府が和田堀・尾久・王子に小規模住宅群を造成した(東京市社会局年報、東京府社会事業協会一覧(1927年〔昭和2年〕))。また義捐金を基に設立された財団法人同潤会による住宅建設も進んだ。

軍は橋をかけ、負傷者を救護した。「軍隊が無かったら安寧秩序が保てなかったろう」(佐藤春夫「サーベル礼讃」、雑誌『改造』大震災号)という評価は、町にも、マスコミにも溢れた。警察は消防や治安維持の失敗により威信を失ったが、軍は治安維持のほか技術力・動員力・分け隔てなく被災者を救護する公平性を示して、民主主義意識が芽生え始めた社会においても頼れる印象を与えた[19]。

震災後、日本で初めてラジオ放送が始まった。避難の教訓からラジオは急速に普及し、国威発揚にも利用された[20]。

被害
190万人が被災、10万5,000人あまりが死亡あるいは行方不明になったと推定されている(犠牲者のほとんどは東京府と神奈川県が占めている)。建物被害においては全壊が約10万9,000棟、全焼が約21万2,000棟である。東京の火災被害が中心に報じられているが、被害の中心は震源断層のある神奈川県内で、振動による建物の倒壊のほか、液状化による地盤沈下、崖崩れ、沿岸部では津波による被害が発生した。東京朝日新聞、読売新聞、国民新聞など新聞各社の社屋も焼失した。唯一残った東京日々新聞の9月2日付の見出しには「東京全市火の海に化す」「日本橋、京橋、下谷、浅草、本所、深川、神田殆んど全滅死傷十数万」「電信、電話、電車、瓦斯、山手線全部途絶」といった凄惨なものがみられた。同3日付では「横浜市は全滅 死傷数万」「避難民餓死に迫る」、4日付では「江東方面死体累々」「火ぜめの深川 生存者は餓死」、「横浜灰となる あゝ東京」などという見出しが続いた。
非焼失の全潰・半潰は焼失および流出、埋没の被害を受けていない棟数。
津波:静岡県熱海市 6m。千葉県相浜(現在の館山市) 9.3m。洲崎 8m、神奈川県三浦 6m。鎌倉市由比ケ浜で300人あまりが行方不明。関東大震災では建物の倒壊と火災による被害が甚大で、津波と地震動の被害を分離することが困難なため、津波に関する報告は断片的で全体像が明確になっていなかった。津波の高さは鎌倉由比ヶ浜では局地的に9mに達し、逗子・鎌倉・藤沢の沿岸では5mから7mの津波が到達した。江ノ島電鉄の由比ヶ浜の停留所(現在の長谷4号踏切付近)に津波が到達し、中村菊三の手記『大正鎌倉餘話』で、中村は津波の被害者とみられる女性の遺体が由比ヶ浜滞留所にあったと書いている[22]。静岡県伊東市宇佐美、旭光山行蓮寺には、[1]が現存している。
この震災の記録映像として、記録映画カメラマン白井茂による『関東大震大火実況』が残されており、東京国立近代美術館フィルムセンターが所蔵している。その一部は同センターの展示室の常設展で見ることができる。また横浜シネマ商会(現:ヨコシネ ディー アイ エー)の手による『横浜大震火災惨状』が、同社および横浜市中央図書館に所蔵されている。これ以外にも数本記録映画が存在しているが、オリジナルといえる作品は少ない
2004年(平成16年)ごろまでは、死者・行方不明者は約14万人と推定されていた。この数字は、震災から2年後にまとめられた「震災予防調査会報告」に基づいた数値である。しかし近年、武村雅之らの調べによって、14万人の数字には重複して数えられているデータがかなり多い可能性が指摘された。その説が学界にも定着したため、理科年表では2006年(平成18年)版から修正され、数字を丸めて「死者・行方不明 10万5千あまり」としている[24]。

地震の揺れによる建物倒壊などの圧死があるものの、強風を伴った火災による死傷者が多くを占めた。津波の発生による被害は太平洋沿岸の相模湾沿岸部と房総半島沿岸部で発生し、高さ10m以上の津波が記録された。山崩れや崖崩れ、それに伴う土石流による家屋の流失・埋没の被害は神奈川県の山間部から西部下流域にかけて発生した。特に神奈川県足柄下郡片浦村では鉄道事故で100人以上の死者、また土石流で数百名の犠牲者を出した。

関東大震災により死去した著名人
寛子女王(閑院宮載仁親王第四王女)- 小田原・閑院宮御別邸へ避暑のところ、別邸が倒壊。
師正王(東久邇宮稔彦王第二王子)- 避暑先の藤沢にある別荘が倒壊。
佐紀子女王(山階宮武彦王妃)- 鎌倉の山階宮別邸が倒壊。
松岡康毅(枢密顧問官・日本大学総長)- 葉山の別邸が倒壊。
園田孝吉(実業家・男爵)
磯部四郎(政治家・法学者・弁護士)- 避難先の被服廠跡で焼死。
厨川白村(英文学者・評論家)- 鎌倉で津波に巻き込まれ、翌2日に死去。
辻村伊助(園芸家・登山家)- 小田原の自宅裏のがけ崩れに巻き込まれ、妻子とともに犠牲となる。
富田木歩(俳人)- 向島の自宅で被災し、避難の途中で退路を断たれ焼死。
五代目麗々亭柳橋(落語家)
ウィリアム・ヘーグ(イギリス外交官・草創期のサッカー振興に関与)- 勤務先の横浜の領事館が倒壊。
ジェニー・カイパー(フェリス和英女学校校長)
伊東荘次郎(新派の俳優、元落語家の古今亭志ん橋)- 諸説あり。
村岡斎(日本の印刷業者・上記の村岡敬三の実弟)- 横浜工場の社屋が倒壊し、社員約70名とともに犠牲となる。
當り矢信太郎(元力士) - 死没地は不明。
梅垣直治郎(元力士)- 死没地は不明、妻子とともに死亡したという。
三遊亭花遊(落語家、音曲師)- 死没地は不明。
帰天斎小正一(奇術師)- 被服廠跡で被災したという[25]。
山田天心
五明楼国輔(落語家)- 諸説あり。
初代吉田久菊(浪曲)- 横浜寿亭に出演中、梁の下敷きとなって死亡。
関東大震災犠牲者の慰霊施設
東京都慰霊堂(旧震災記念堂)身元不明の遺骨を納め死者の霊を祀る。1948年(昭和23年)より、東京大空襲の身元不明の遺骨を納めその死者の霊も合祀している。
「大正拾二年九月帝都震災殃死(おうし)者之霊供養碑」 東京大田区の池上本門寺境内。
治安維持緊急勅令の発布
こうした流言の存在をきっかけとして、前内閣では廃案となった司法省作成の「過激社会運動取締法案」の代わりに、7日には緊急勅令「治安維持の為にする罰則に関する件」(勅令403号)が出された(この時の司法大臣は、前日まで大審院長だった思想検事系の平沼騏一郎、枢密院議長は司法官僚の清浦奎吾だった)。これがのちの治安維持法の前身である。8日には東京地方裁判所検事正南谷智悌が「鮮人の中には不良の徒もあるから、警察署に検束し、厳重取調を行っているが、或は多少の窃盗罪その他の犯罪人を出すかも知れないが、流言のような犯罪は絶対にないことと信ずる」と、流言と否定する見解を公表した[52]。

震災後1か月以上が経過した10月20日、日本政府は「朝鮮人による暴動」についての報道を一部解禁し、同時に暴動が一部事実だったとする司法省発表を行った。ただし、この発表は容疑者のほとんどが姓名不詳で起訴もされておらず信憑性に乏しく、自警団による虐殺や当局の流言への加担の責任を隠蔽、または朝鮮人に転化するために政府が「でっち上げた」ものとの説もある[40]。

一部の流言については正力松太郎が、1944年(昭和19年)の警視庁での講演において、当時の情報が「虚報」だったと発言している[53]。

戒厳令発布
警視総監・赤池濃は「警察のみならず国家の全力を挙て、治安を維持」するために、「衛戍総督に出兵を要求すると同時に、警保局長に切言して」内務大臣・水野錬太郎に「戒厳令の発布を建言」した。なお水野は朝鮮総督府政務総監時代の1919年9月2日(地震の4年前)、独立党党員に爆弾を投げられ重傷を負ったことがある[54]。これを受け、9月2日には、東京府下5郡に戒厳令を一部施行し、3日には東京府と神奈川県全域にまで広げた[43]。この戒厳令発令が水野内務大臣の最後の公務となり、内務大臣の役職は後藤新平に引き継がれた[55]。また戒厳令のほか、経済的には非常徴発令・暴利取締法・臨時物資供給令・モラトリアムが施行された[56]。最終的に政府は朝鮮人犯罪を一切報道しない報道規制を行うまでになった[要出典]。陸軍は、戒厳令のもと騎兵を各地に派遣し軍隊の到着を人々に知らせたが、このことは人々に安心感を与えつつ、流言が事実であるとの印象を与え不安を植えつけたとも考えられる[43]。また、戒厳令により警官の態度が高圧化したとの評価もある[43]。

自警団による暴行
軍・警察の主導で関東地方に4,000もの自警団が組織され、集団暴行事件が発生した[44][57]。横浜地区では刑務所から囚人が解放されていたため、自警団の活動に拍車がかかった[58]。これら自警団の行動により、朝鮮人だけでなく、中国人、日本人なども含めた死者が出た。朝鮮人かどうかを判別するためにシボレスが用いられ、国歌を歌わせたり[59]、朝鮮語では語頭に濁音がこないことから、道行く人に「十五円五十銭」や「ガギグゲゴ」などを言わせ、うまく言えないと朝鮮人として暴行、殺害したとしている[注釈 7]。「白い服装だから朝鮮人だろう」という理由で、日本海軍の将校ですら疑われた[49]。 また福田村事件のように、方言を話す地方出身の日本内地人が殺害されたケースもある。聾唖者(聴覚障害者)も、東京聾唖学校の生徒の約半数が生死がわからない状態になり、卒業生の一人は殺された[60]。 9月4日、埼玉県の本庄町(現本庄市)で、住民によって朝鮮人が殺害される事件が起きた(本庄事件)。同日、熊谷町(現熊谷市)、5日には妻沼町でも同様の事件が発生している。 9月5日から6日にかけて、群馬県藤岡町(現藤岡市)では藤岡警察署に保護された砂利会社雇用の在日朝鮮人ら17人が、署内に乱入した自警団や群衆のリンチにより殺害されたことが、当時の死亡通知書・検視調書資料により確認できる(藤岡事件)[61]。

横浜市の鶴見警察署長・大川常吉は、保護下にある朝鮮人ら300人の奪取を防ぐために、1千人の群衆に対峙して「朝鮮人を諸君には絶対に渡さん。この大川を殺してから連れて行け。そのかわり諸君らと命の続く限り戦う」と群衆を追い返した。さらに「毒を入れたという井戸水を持ってこい。その井戸水を飲んでみせよう」と言って一升びんの水を飲み干したという[注釈 8]。大川は朝鮮人らが働いていた工事の関係者と付き合いがあったとみられている[45]。また軍も多くの朝鮮人を保護した。当時横須賀鎮守府長官野間口兼雄の副官だった草鹿龍之介大尉(後の第一航空艦隊参謀長)は「朝鮮人が漁船で大挙押し寄せ、赤旗を振り、井戸に毒薬を入れる」[36]などのデマに惑わされず、海軍陸戦隊の実弾使用申請や、在郷軍人の武器放出要求に対し断固として許可を出さなかった[59]。横須賀鎮守府は戒厳司令部の命により朝鮮人避難所となり、身の危険を感じた朝鮮人が続々と避難している[62]。現在の千葉県船橋市丸山にあった丸山集落では、それ以前から一緒に住んでいた朝鮮人を自警団から守るために一致団結した[45]。また朝鮮人を雇っていた埼玉県の町工場の経営者は、朝鮮人を押し入れに隠し、自警団から守った[45]。

警官手帳を持った巡査が憲兵に逮捕され、偶然居合わせた幼なじみの海軍士官に助けられたという逸話もある[63]。当時早稲田大学在学中だったのちの大阪市長・中馬馨は、叔母の家に見舞いに行く途中で群集に取り囲まれ、下富坂警察署に連行され「死を覚悟」するほどの暴行を受けたという[64]。歴史学者の山田昭次は、残虐な暴行があったとしている[45]。

10月以降、暴走した自警団は警察によって取り締まられ、殺人・殺人未遂・傷害致死・傷害の4つの罪名で起訴された日本人は362名に及んだ。しかし「愛国心」によるものとして情状酌量され、そのほとんどが執行猶予となり、残りのものも刑が軽かった[44][65]。福田村事件では実刑となった者も皇太子(のちの昭和天皇。当時は摂政)結婚で恩赦になった[65]。自警団の解散が命じられるようになるのは11月のことである。
紙幣の焼失
日本銀行本店は火災の被害を受けたが、銀行券は8.5%が損傷したのみに留まった[73]。ただ当時の唯一の紙幣印刷工場であった東京市大手町の印刷局(当時は内閣の外局)は、証券印刷部や工場、約730台の機械設備、銀行券原版、製造中や製造完了の銀行券をほぼ焼失し、東京市王子の印刷局抄紙部も建物が全面倒壊した。9月下旬の大阪時事新報によれば、印刷局の焼け跡では奇跡的に1円、5円、10円、20円、100円の原版が無傷で発見され、日本銀行の金庫に保管された。

当初は緊急紙幣の発行は行われなかったが、10月中旬に一部の銀行で預金の払出しが相次いだため、日本銀行は11月6日に大蔵大臣に対し、未発行の高額紙幣「甲200円券」の発行申請を行い、大阪の証券印刷会社である昌栄堂印刷所が下請工場として製造を開始した。しかし年末にはそれほど需要がないことが判明し、甲200円券は発行が中止となった(1926年にすべて焼却処分された)。

1924年には朝鮮総督府の印刷局が東京の印刷局へ、アメリカ製の凹版速刷機やパンタグラフを搬送し、その後に新たに発注されたアメリカ製の凸版・平版印刷機も次第に到着して、印刷局の業務は1926年3月には復旧した。
山本権兵衛首相を総裁とした「帝都復興審議会」の創設により、大きな復興計画が動いた。江戸時代以来の東京市街地の大改造を行い、道路拡張や区画整理などインフラ整備も大きく進んだ。公共交通機関が破壊され自動車の交通機関としての価値が認識されたことから、1923年(大正12年)に1万2,765台だった自動車保有台数が震災後激増、1924年(大正13年)には2万4,333台[74]、1926年(大正15年)には4万0,070台となっていた[75]。1929年の世界恐慌など逆風が続くなか、その後も漸増した。

その一方で、第一次世界大戦終結後の不況下にあった日本経済にとっては、震災手形問題や復興資材の輸入超過問題などが生じた結果、経済の閉塞感がいっそう深刻化し、のちの昭和恐慌に至る長い景気低迷期に入った。震災直後の7日には緊急勅令によるモラトリアムが出され、29日に至って震災手形割引損失補償令が出されて震災手形による損失を政府が補償する体制がとられたが、その過程で戦後恐慌に伴う不良債権までもが同様に補償され、これらの処理がこじれ、1927年には昭和金融恐慌を起こすことになる。

震災復興事業として作られた代表的な建築物には同潤会アパート、聖橋、復興小学校、復興道路、復興公園、震災復興橋(隅田川)、九段下ビルなどがある。また復興のシンボルとして、震災前は海だったところをがれきで埋め立てた山下公園が作られ、1935年には復興記念横浜大博覧会のメイン会場となった。同公園内には1939年にインド商組合から市に寄贈された水飲み場(インド水塔)が設置されているが、これは在留インド人の事業復活のため、低利融資や商館再建などに尽力した横浜市民らへのお礼として寄贈されたものである。現在この水飲み場は使用されていないが、イスラームのモスクを思わせる屋根をした建造物が今も残されている[76]。

横須賀軍港では、ワシントン海軍軍縮条約に従って巡洋戦艦から航空母艦に改装されていた天城型巡洋戦艦「天城」が[77]、地震により竜骨を損傷して修理不能と判定された[78]。代艦として、解体予定の加賀型戦艦「加賀」が空母に改装された[78][79]。「加賀」と「天城」の姉妹艦「赤城」は太平洋戦争(大東亜戦争)緒戦で活躍した。

震災発生時、連合艦隊は大連沖で訓練中であった[49]。地震発生の報告を受け連合艦隊各艦は訓練を中止、救援物資を搭載して東京湾に向かった[49]。このとき戦艦「長門」(連合艦隊旗艦、対外公称速力23ノット)が大隅海峡で26ノットの速力を出していたのがイギリス海軍に目撃されている[49]。

9月27日、帝都復興院が設置され、総裁の後藤新平により帝都復興計画が提案された。それは被災地を一旦すべて国が買い取る提案や、自動車時代を見越した100m道路の計画(道路の計画には震災前の事業計画だった低速車と高速車の分離も含まれていた)、ライフラインの共同溝化など、現在から見ても理想的な近代都市計画だったが、当時の経済状況や当時の政党間の対立などにより予算が縮小され、当初の計画は実現できなかった(後藤案では30億円だったが、最終的に5億円強にまで削られて議会に提出された)。また土地の買い上げに関しては神田駿河台の住民が猛反発した。この復興計画を縮小したことにより、図らずも東京大空襲時の火災の広がり方や、戦後の高度経済成長期以降の自動車社会になって、計画を縮小した影響が出てしまった。たとえば道路については首都高速などを建設(防災のために造られた広域避難のための復興公園(隅田公園)の大部分を割り当てたり、かつ広域延焼防止のために造られた道路の中央分離帯(緑地)を利用などして建設された)する必要があった

ميافي

تاكاماسا ايشيهارا أوميافي (بالإنجليزية: Miyavi) مواليد 14 سبتمبر 1981، هو مغني وممثل وكاتب غنائي ومغن مؤلف ومنتج أسطوانات ياباني بدأ مسيرته الفنية سنة 1999. يُعرف بالوسط الفني بإسم ميافي. ببداياته الفنية كان عازف غيتار بفرقة visual kei، وبعد تفكك الفرقة أصبح مُغني منفرد منذ سنة 2002. في سنة 2007 إنظم لفرقة الروك اليابانية الشهيرة (.S.K.I.N). وفي سنة 2009 أسس شركته الخاصة (J-Glam). قام بعدة جولات حول العالم، وقدم أكثر من 200 عرض.

MIYAVI

Takamasa Ishihara (石原 崇雅 Ishihara Takamasa, born September 14, 1981),[6][4] better known by his stage name Miyavi (stylized as MIYAVI),[4] is a Japanese guitarist, singer-songwriter, record producer and actor known for his finger-slapping style of playing a guitar.[5][7]

He has been active since 1999, first as guitarist for the now defunct visual kei rock band Dué le quartz and then as a solo artist starting in 2002. In 2007, he became a member of the rock supergroup S.K.I.N. and in 2009 founded his own company, J-glam. He toured worldwide several times, with over 250 shows in 30 countries as of 2015.[8] As of 2016, he released ten solo albums and 27 singles.

In 2014, Miyavi appeared in the motion picture Unbroken, directed by Angelina Jolie and went on to undertake smaller roles in American productions such as Kong: Skull Island and Stray. Since 2013, Miyavi has been a volunteer at UNHCR, visiting refugee camps around the world.[9] In November 2017, he was appointed an official Goodwill Ambassador
Early life
Miyavi was born in the Nishikujō district in Konohana-ku ward, Osaka, Osaka Prefecture, to a Japanese mother and a Korean Japanese father.[11] After the first grade, he moved to Kawanishi.[11] His father's family, surnamed Lee, came from Jeju Island.[12] Miyavi says that as a child he was a good student and enjoyed playing football.[11] He was accepted into the junior team of Cerezo Osaka, a J-League team.[13] In the second year of junior high school, a sports injury prevented him from pursuing a professional career in sports. Instead, at the age of fifteen, he learned to play the guitar.[14] He bought a guitar and began covering songs by Ray Charles.[15]

He was particularly fond of visual kei acts such as X Japan and Luna Sea but also listened to the blues, Motown, hard rock such as Metallica and L.A. Guns, and industrial music such as Nine Inch Nails.[14][15] In his third year of junior high school, he started playing with his first band, a visual kei group named Loop.[14]

Career
1999–2003: Dué le quartz and indies era
In 1999, at the age of 17, Miyavi moved to Tokyo,[16] and joined the visual kei rock band Dué le quartz, where he went by the stage name "Miyabi". Besides being a guitarist, he wrote lyrics, composed, and arranged.[17] When the band split up in 2002, he started his solo career and changed his name to Miyavi. He signed a contract with the independent record label PS Company, and on October 31, his debut studio album Gagaku was released. Before the end of the year three more singles were released: "Shindemo Boogie-Woogie", "Pop Is Dead" and "Jingle Bell", of which only the third managed to enter the top forty on the Oricon charts.[18] Miyavi also starred alongside his former bandmate Sakito in a movie, Ryōma no Tsuma to Sono Otto to Aijin.[19][20]

On April 23, 2003 his first solo concert was held at the Shibuya Public Hall.[17] Three singles were released: "Jibun Kakumei", "Tariraritarara", and "Coo quack cluck (Ku. Ku. Ru)", which charted as numbers forty, thirty, and forty-two respectively on Oricon.[18] On December 2, his second studio album, Galyuu, was released; it charted forty-fourth.[21]

2004–2006: Majors and pop/acoustic era
In 2004, he starred as himself in the film Oresama.[22] In February he went on his first solo tour, Tokyo Dassou, and in July additional dates were added in Korea and Taiwan.[17] In June his seventh single, "Ashita, Genki Ni Naare", was released, which charted twenty-second,[18] and number one on the indies chart.[23] In August a small, free, fan-club-only event was organized in Tokyo Dome, and on the 31st he held his last indie concert at the Nippon Budokan.[17] In October, he signed a major contract with Universal Music Group, but was still co-managed by PS Company. This was followed by the release of his first major (double) single, "Rock no Gyakushuu"/"21sekikei Koushinkyoku", which entered the top ten on the charts.[18]

During May 2005 another single, "Freedom Fighters -Icecream wo Motta Hadashi no Megami to, Kikanjuu wo Motta Hadaka no Ousama-", was released, which charted tenth,[18] and on June 1, his first major album, Miyavizm, was released. It was his first album to enter the top ten in the charts.[21] It was followed by the third major single, "Kekkon Shiki Uta"/"Are You Ready to Rock?", which is his best charting single, along with "Dear My Friend"/"Itoshii Hito", released in 2006; both reached number six.[18] In December he performed at the first Peace & Smile Carnival organized by PS Company.[17]

In late 2005 and for most of 2006, Miyavi shifted to an acoustic/pop sound[14] reflected in his second and third major albums, MYV Pops and Miyaviuta: Dokusō, released on August 2 and September 13 respectively. They charted at fifteenth and twenty-fifth.[21] The first album singles, "Señor Señora Señorita"/"Gigpig Boogie" and "Kimi ni Negai o", are not different in style. They charted as tenth and twenty-sixth respectively.[18] Miyavi showcased his new acoustic style for the first time in the 25 Shūnen Kinen Koen concert series held at Tokyo Geijutsu Gekijo for five days in September around his 25th birthday.[24] Miyavi left for America for the next six months to study the English language and take dance classes, and, on the weekends, went to Venice Beach and gave street performances.
On February 17, Miyavi, having been invited by the break dancer Mr. Freeze,[25] performed with the local DJ and percussionist at his first solo concert in the United States, at the Tabu Ultra Lounge in the MGM Grand, Las Vegas.[26] On May 25, at the JRock Revolution concert organized by Yoshiki Hayashi at the Wiltern Theatre in Los Angeles, it was officially announced that Miyavi would be a member of a band named S.K.I.N..[27] On June 29, the band held their debut and their only concert yet at the anime expo in Long Beach, California.[28][29]

In June, Miyavi's seventh major single (and 14th overall), "Sakihokoru Hana no you ni (Neo Visualizm)"/"Kabuki Danshi", was released in Japan, which charted as twelfth.[18] In July, a remixed extended play, 7 Samurai Sessions -We're Kavki Boiz-, was released, which includes re-arrangements of his past songs. It charted as forty-fourth.[21] It was followed by Miyavi's nationwide tour, which started on July 16. He also performed at Animagic in Bonn, Germany,[30] and in Seoul, South Korea.[12] In November his tenth major single was released, "Subarashikikana, Kono Sekai - What A Wonderful World",[31] which charted as thirteenth.[18]

On January 16, 2008, his ninth major single was released, "Hi no Hikari Sae Todokanai Kono Basho De", on which he collaborated with fellow Skin guitarist Sugizo.[32] It is his third single to enter the top ten.[18] On March 19, his fourth major studio album was released, titled, This Iz the Japanese Kabuki Rock,[33] which charted as twenty-fifth.[21] In May, it was followed by his very first worldwide tour, This Iz The Japanese Kabuki Rock Tour 2008, with 33 concerts in the United States, Chile, Brazil, Germany, England, the Netherlands, Spain, Sweden, Finland, France, Taiwan, South Korea, mainland China and Japan.[34][35][36][37][38][39][40] The tour covered a distance of approximately 48,385 miles, equivalent to almost two trips around the world, and the majority of the concerts were sold out and covered extensively by media organizations. It was the most successful international tour undertaken by a Japanese artist in history.[41] On June 27, a compilation album, Azn Pride -This Iz the Japanese Kabuki Rock-, was released in Korea and Taiwan, later also in Japan, which charted as forty-fourth.[21] In September he performed in Beijing.[17] On December 24, a remix album was released, Room No. 382, which failed to enter the top hundred
n 2009, on January 3, Miyavi performed at the 10th Anniversary Commemorative concert by PS Company at the Nippon Budokan.[42] On April 5, Miyavi left the PS Company because their ten-year contract expired, and on April 8 launched his own company, J-glam inc., of which he is the president. On April 22, a compilation album was released, Victory Road to the King of Neo Visual Rock,[43] which includes all his major singles with Universal Group. On June 1, "Super Hero," a new song, was released through his official Myspace,[44] and in September his International Fanclub was opened.[45] On September 19, Miyavi started his second worldwide tour, Neo Tokyo Samurai Black 2009/2010, in Moscow, Russia.[46] He held 17 concerts in Europe, visiting Austria, Hungary and Italy for the first time.[46][47] The tour immediately continued in South America, with concerts in Brazil, Argentina, Chile and Mexico. The United States leg was canceled due to illness and an injury,[48] but Miyavi managed to perform in November at Anime Matsuri, Texas.[49] On December 31, he signed a new contract with EMI Music Japan.
On March 10, 2010, his first single with EMI was released, "Survive", via iTunes.[50] The worldwide tour was continued on March 28, with the concert at Human Stage, Okinawa, and nationwide. In June and early July he toured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and Canada,[51][52] and in October for the first time in Australia.[53] On September 15, his eleventh major single was released, "Torture". On October 13, his fifth studio album was released, What's My Name?, which charted as twenty-sixth.[21] On November 6, he performed at the EMI Rocks 50th anniversary event at the Saitama Super Arena.[54]

In March 2011, a new world tour, titled What's My Name?, began in Europe, with his first visit to Belgium.[55] In April the tour continued in Japan, while in July Miyavi performed in France, and in September at the Mount Taishan MAO Rock Festival in China.[56] In May 2011, a live album, Live in London 2011, was released, which was recorded during the London concert in March.[57] On October 5, his twelfth major single, "Strong", was released, in collaboration with Japanese rapper Kreva. It was followed by the North American leg of the tour.[58] Miyavi performed in South America at the Maquinaria festival in Chile,[59] and visited Venezuela, Peru and Colombia for the first time.[60]

2012–2014: Miyavi and international acting career
n 2012, Miyavi performed on February 19 at the second EMI Rocks event in Saitama Super Arena.[61] On June 29, he performed at the EHZ Festival in Helette,[62] while on June 30, he was the only Asian representative at the Main Square Festival in Arras, France.[63] On July 11, his thirteenth major single, "Day 1", was released in collaboration with the French electronic producer and DJ Yuksek. In August, he performed at the Kubana Festival in Russia.[64] On September 8, Miyavi performed at the 908 Festival, organized by Kreva, in Saitama Super Arena.[65] In October two concerts were held in Indonesia.[66][67] On November 14, Samurai Sessions vol.1, his second EP, was released, which featured collaboration with various artists, and it was followed by a short nationwide tour.[68][69][70] It reached 21 on the Oricon charts.[21]

On February 28, 2013, "Ahead of the Light", Miyavi's fourteenth single, was released; a promotional tour of the same name followed.[71][72] On June 19, his seventh studio album, Miyavi, was released in Japan. It is his best-selling album so far, reaching number eight on the Oricon charts.[21]
On October 12, 2013, it was announced that Miyavi would venture into professional acting with his international debut in the film Unbroken. He played the role of Imperial Japanese Army sergeant Mutsuhiro Watanabe, nicknamed "The Bird", in what was Angelina Jolie's second feature film as director.[7] It was released in December 2014.[73] Miyavi commented that as the movie was somewhat sensitive to the Japanese people, he had hesitated as to whether he should take this role. However, after meeting with Jolie, and given that the underlying theme of this story is forgiveness, he wholeheartedly decided to accept it.[74][75] Miyavi was featured in the same month's edition of Vogue Italia.[76]

In 2013 Miyavi was nominated for the MTV Europe Music Award for Best Japanese Act,[77] and at the MTV Video Music Awards Japan he won the Best Collaboration category with Yuksek.[78] In 2014, the music video of "Horizon" was nominated for the Best Male Video at the MTV Video Music Awards Japan.[79]

In 2014, Miyavi went on his fourth world tour, "Slap the World", which started on February 22 in Malaysia. He continued throughout Europe, followed by the European release of his latest studio album, and visited Mexico City and Los Angeles, with United States release of the album, before returning to Japan for his longest nationwide tour so far.[80] Miyavi composed the music for the single "Top of the World" by SMAP, which topped the Oricon singles charts.[81] On August 25, he performed for the first time at Fuji Rock Festival.[81] On September 9, his new single "Real?" was released, on which Miyavi collaborated with Jam and Lewis and Jeff Blue, and also the live video recording from the world tour.
2015–present: The Others, Fire Bird
His next album The Others was released on 15 April 2015, produced by Grammy Award winning Drew Ramsey and Shannon Sanders. The song "Alien Girl" was dedicated to Angelina Jolie, while his title song, "The Others" was later released in a different version to support UNHCR.[84][85] The album ranked 10th on Oricon[86] and was followed by a two-part nationwide tour, a Europe tour (his fifth on the continent) and a concert in South Korea.[87][88]

On April 29, Miyavi released a digital single, "Afraid to Be Cool"/"Raise Me Up".[89] His next album, Fire Bird came out on 31 August 2016,[90] and ranked 11th on Oricon.[86] The artist followed it up with a nationwide tour MIYAVI Japan Tour 2016 "NEW BEAT, NEW FUTURE", which included 10 stops.[89] The last performance was held at Makuhari Messe, and was broadcast live on Abema TV, with more than 100,000 viewers watching.[91]

In 2017, he played a cameo role in the movie Kong: Skull Island.[92][93] In February, the singer revealed a North American and European tour. As a part of Live Nation's Asia on Tour, Miyavi performed in 14 cities, including Vancouver, San Francisco, Los Angeles, New York City and Toronto. He embarked on a solo international tour entitled Fire Bird World Tour. The tour began in Seoul on February 29 and ended in Berlin on May 10, with shows in countries including Austria, Hungary, Germany, Italy, France and the United Kingdom.[94] In March, Miyavi performed at South by Southwest for the first time in his career.[95] On March 29, he released a digital single titled "Live to Die Another Day", which is the theme song of the live-action film Blade of the Immortal.[96] To commemorate his 15th year as a solo artist, Miyavi embarked on a Japanese tour—MIYAVI 15th Anniversary Live "NEO TOKYO 15" started on May 21, with Miyavi releasing an anniversary compilation album, All Time Best: Day 2, on April 5.[97]

In 2018, Miyavi covered "Pink Spider" for the Hide tribute album Tribute Impulse,[98] and was also cast as Byakuya Kuchiki in the live-action film adaptation of Bleach.[99] On February 23, 2019, Miyavi performed an album release concert for Samurai Sessions Vol. 3: Worlds Collide at the El Rey Theatre in Los Angeles with guest performers DUCKWRTH, Mikky Ekko, Che’nelle, and Yuna.[100][101] On March 1, 2019, the supernatural action film Stray[102] was released in the U.S., featuring Miyavi in the villain role of Jin. In April 2019, Miyavi performed a headlining concert at Anime Bosto

زياد علي

زياد علي محمد